중, 북·중 국경 밀무역 이젠 안 봐줘

북중 민간무역 활성화를 위해 100년 만에 부활한 중국 랴오닝성 단둥의 호시무역구.
북중 민간무역 활성화를 위해 100년 만에 부활한 중국 랴오닝성 단둥의 호시무역구.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 중국 해관(세관)당국이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밀무역 행위를 대대적으로 단속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그동안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밀무역 행위를 적당히 눈감아주던 중국당국이 최근 밀수행위를 강력히 단속하고 나섰다는 소식입니다. 북한은 지금까지 외화벌이를 위해 국가기관까지 동원해 밀무역에 개입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단둥의 한 대북 소식통은 최근 “중국해관 당국이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압록강 일대와 압록강 하구에 위치한 뚱강(東港)지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밀수 단속에 나서고 있으며 다수의 밀수꾼들을 체포해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체포된 밀수꾼들 중에는 몇 달 전에 저질렀던 밀수행위가 이제야 드러나서 체포된 사람들도 있다” 면서 “밀수현장에서 현행범으로 발각되지만 않으면 체포되는 일이 없었는데 매우 이례적인 단속이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중국이 이처럼 밀수범 색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중앙의 지시 때문이라는 말이 돌고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단둥의 또 다른 소식통은 “압록강 등 접경지역 주민들은 강(江) 밀수를 해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중국 공안이 밀수를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가구들을 방문해 북한과 밀거래가 있는지를 탐문 조사하고 있다”면서 “지금까지 주민들의 생계형 밀수는 눈감아 주던 것에 비하면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과 거래를 하고 있다는 단둥의 한 무역업자는 “북한은 지금까지 유엔 제재의 대상이 되는 물건들은 밀수를 통해 확보했다”면서 “밀거래로 북한에 들어가는 물자들은 대부분 군수물자로 전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최근의 밀무역 단속 강화 조치는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를 철저히 이행하겠다는 중국정부의 의지와 무관치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밀무역 단속이 길어지면 북한의 식량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중국은 쌀과 강냉이의 수출은 등록된 업체가 허가를 받아서 하도록 까다롭게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에 들어가는 쌀과 강냉이는 대부분 밀무역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따라서 밀수단속이 강화되면 북한의 식량수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 뻔하고 장마당 식량 가격은 오를 수 밖에 없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