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국경통제 완화에 밀수는 활기

0:00 / 0:00

앵커 : 북-중 국경연선에 대한 북한 국경경비대의 통제가 느슨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국이 국경경비대 대원들을 지나치게 혹사하는데다 감당 못할 과제까지 부과한 것이 경계가 느슨해진 원인이라고 소식통들은 지적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장성택 처형 후 국경 경비를 대폭 강화했던 북한 국경경비대가 최근 경계를 많이 완화했다고 복수의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삼엄했던 경계가 완화되면서 북·중 국경을 통한 밀수도 되살아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6월 초부터 국경경비대의 단속이 조금씩 완화되면서 밀수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며 “밀수가 재개되면서 그동안 꽉 막혔던 장마당도 숨통이 트이고 있다”고 2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지난해 겨울부터 지속된 국경경비의 강화로 밀수가 막힌 데다 올해 4월 중순부터는 농촌동원까지 시작되면서 장마당 유통이 중단돼 그동안 북한 주민들은 심각한 생필품 부족에 시달려 왔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특히 북한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집권 후 조선어(한글)로 된 상표나 설명서가 붙은 모든 상품의 수입을 엄격히 차단해 주민들속에서 인기가 높은 한국산 화장품이나 여성들의 속옷 등 대부분의 필수품은 모두 밀수에 의존해 왔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최근 들어 국경경계가 완화되고 밀수가 시작됨에 따라 밀수꾼들이 들여 온 한국산 화장품과 여성들의 속옷들을 넘겨받기 위해 전국의 달리기(유통) 장사꾼들이 국경연선 장마당들에 몰리고 있다고 그는 이야기했습니다.

이와 관련 22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중앙의 지시에 따라 국경경비가 완화된 것은 절대로 아니다”라며 “국경경비대 지휘부가 지나치게 대원들을 혹사하고 중앙에서 과도한 과제를 내준 것이 통제가 풀리게 된 결정적 요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마을주변의 국경경비 중대만 해도 매일 부업 밭 동원으로 대원들의 피로가 쌓일 대로 쌓였는데, 대원 1인당 말린 산나물 4kg씩 바치라는 과제까지 내주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이런 문제로 하여 국경경비대원들은 어쩔 수 없이 밀수꾼들과 내통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밀수를 허용하는 대신 경비대원들이 주민들로부터 말린 산나물이나 절인 산나물을 얻어 자신들에게 부과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이렇게 국경을 통한 밀수가 가능해졌음에도 전파감시는 오히려 강화돼 중국 기지국을 이용한 불법휴대전화의 사용이 한층 어려워졌다”며 “이는 국경에 대한 중앙의 통제가 전혀 완화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