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또 다시 콩 찌꺼기 대량 수입

0:00 / 0:00

앵커 : 북한이 작년 겨울에 이어 금년 겨울에도 중국으로 부터 대두박(大豆粕)을 대량으로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변경도시의 한 대북 무역업자는 “작년 겨울에 이어 금년 겨울에도 북한이 대두박(大豆粕)을 대량으로 들여가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대두박(大豆粕)이란 콩에서 기름을 짜내고 남은 찌꺼기를 말합니다.

소식통은 “중국에서는 대두박을 주로 가축 사료로 이용하고 있지만 북한은 이를 가공하여 식품으로 만드는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습니다.

“조선은 대두박을 들여다가 한 번 더 압착을 해서 많은 양은 아니어도 콩기름을 짜내고 나머지 무거리(찌꺼기)로는 두부도 만들고 북한주민들이 흔히 이용하는 인조고기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북한에서 대두박을 꼭 겨울철에 대량으로 들여가는 것은 콩기름 공장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대두박이 여름철에는 바로 상해버리지만 겨울철에는 쉽게 상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대두박은 대두 가격에 비해 너무나도 눅다”면서 “대두박 1kg의 가격은 콩 값의 10분의 1 수준이며 중국돈 1위안도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이모 씨는 “북한에서는 대두박으로 된장을 담글 수도 있다”면서 “콩이 귀한 북한에서는 도토리로 된장을 담가 먹는 사람도 많다”고 말했습니다.

이 씨는 “중국에서도 대두박을 식품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중국사람들의 생활 수준이나 가공비를 감안하면 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에 사료로 쓰고 있을 뿐”이라며 대두박을 사람이 먹는 식품으로 가공하는 것 자체가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에서 흔히 쓰이는 도토리 된장에 비하면 대두박 된장은 오히려 좋은 된장이라는 겁니다.

이 씨는 그러면서 “중국에서 들여간 대두박은 그나마 일반주민들에게 차례지는 것이 아니라 전량이 군용으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단둥의 한 주민 소식통은 “단둥해관 주변의 무역회사 사무실에는 ‘대두박 무역을 취급한다’는 광고 문구가 쉽게 발견된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