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각 도마다 특구 조성 추진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외자유치를 위해 전국의 각 도마다 관광 또는 경제특구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정은 제 1비서의 직접 지시에 따른 조치라고 내부 소식통들은 증언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외화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이 각 도의 행정 책임자로 하여금 도내에 의무적으로 한 개 이상의 경제특구나 관광특구를 조성하도록 조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1도 1개의 특구 조성안을 김정은 제1비서가 직접 지시했다는 전언입니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평양의 한 대학교수 출신은 익명을 전제로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이 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이는 김정은 제1비서의 경제 살리기 정책의 일환”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각 지방 행정 책임자들은 김정은 원수의 뜻을 받들기 위해 골몰하고 있을 것”이라며 “특구조성 사업의 성패여부는 각 도당책임자들의 향후 중앙 정치무대로의 진출을 가름하는 중요한 현안사업이 되고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마식령 스키장 건설을 비롯한 각종 관광 시설물을 건설중인 강원도 원산이나 회령의 음식점거리 조성, 백두산 칠보산을 잇는 관광벨트 개발 추진 등을 그 예로 들면서 조만간에 신의주 경제특구 계획도 다시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한 대북소식통은 “한동안 잠잠했던 신의주 경제특구 추진이야기가 올봄부터 사람들 사이에서 슬며시 거론되고 있다”면서 “홍콩의 대자본가가 공단 부지조성에 투자할 것이라는 등 상당히 구체적인 소문까지 들린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 대북소식통은 “신의주 경제특구 이야기는 지금까지 하도 많이 나왔다가 잦아들곤 했던 사안이라 그 신빙성엔 의문”이라며 “그렇게 되면 신의주와 인접한 황금평, 위화도 경제특구와는 어떻게 정리가 될 것인지도 궁금한 대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북한당국의 외자유치를 위한 행보는 주로 관광분야에만 치중돼 있다는 평가를 받고있습니다. 산업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눈에 띄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중국 내 대북소식통들의 판단입니다.

이미 많은 중국 기업들이 진출한 라선지구 특구도 중국 길림성으로 부터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 공사가 주춤거리고 있어 많은 중국 기업들이 진출을 꺼리고 있는 형편입니다. 이번 외자유치를 위한 북한당국의 특구조성 계획도 유엔제제라는 큰 장애물을 넘어야 하는 등 성공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 중국 내 대북 관측통들의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