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지방정부, 대북교역 품목 점차 확대”

0:00 / 0:00

앵커 : 중국 지방정부가 북한의 3차 핵실험에도 대북 교역에서 기존의 의류, 식품류에서 점차 석유화학 제품 등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반면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응해 계획했던 대북 투자를 전면 보류한 중국 기업도 나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접한 중국 지린성 지방정부가 올 들어 대북 경협 강화 의지를 연이어 강조하고 있습니다.

중국 연변일보는 5일 지린성 훈춘시가 북한과 경제무역 합작을 심화해 중국 동북지구의 개방 창구와 교두보로서의 기능을 십분 발휘하는 데 애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특히 북한과 무역에서 품목이 다양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제껏 주로 이뤄지던 의류, 식품 가공 등에서 점차 석유화공 제품과 건축재료, 그리고 삼림공업 등으로 품목이 확대되고 있다는 겁니다.

이 밖에 선박 수리 제조와 가정용 전기 기구 제품도 양국 간 교역에서 점차 주요 물품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앞서 중국 지린성도 지난 달 말 대북 접경지역인 창춘, 지린, 투먼을 포함한 창지투 개발 2단계 사업 시작에 맞춰 대북경협 활성화 방안을 밝힌 바 있습니다.

지린성은 중국에서 북한까지 도로, 철도를 연결한 뒤 북한의 나진항 등 항구를 빌려 상하이 등 중국 남부 해안 공업지대로 곧 바로 연결되는 물류망을 더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하지만 북한의 제3차 핵실험 강행이 중국 지방정부 주도의 이 같은 대북경협 확대 움직임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점차 현실화 할 가능성이 엿보여 주목됩니다.

중국의 인터넷 포털 사이트 중화망은 이날 중국의 ‘아주어항’이 북한에 대형 수산물 가공센터와 냉동창고를 건립하려던 계획을 보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랴오닝성 다롄의 이 대형 수산물 가공업체는 이미 북한에 대한 현지조사까지 끝마쳤지만 핵실험 이후 대북 투자를 잠정 보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임을출 교수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중국 중앙정부 차원의 대북 경고’ 가능성을 예상한 바 있습니다.

임을출 교수: 이번 핵실험으로 인해서 분명히 중앙정부 차원에서, 즉 대규모 경협과 관련해서는 북한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보입니다.

중국 수산물 가공업체의 전격적인 대북 투자 잠정 보류가 다른 중국 기업의 ‘대북 투자 보이콧’으로 이어질 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