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은 최근 중국 주재 무역일꾼들이 임의로 파견지역을 벗어나 활동하는 것을 금지시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당국이 중국에 파견된 무역 주재원들에게 원래 정해준 파견 지역을 임의로 변경하여 활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이미 파견지역을 벗어나 활동하고 있는 주재원들에게 본래의 파견지로 복귀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최근 이 같은 소식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하면서 “이 같은 지침이 하달된 시점은 태영호 공사의 망명 사건이 있고 난 후”라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지금까지는 북한당국이 일부 주재원들이 원래의 파견지역을 벗어나 무역활동 하기 좋은 곳에서 일하는 것을 묵인해 주었는데 이번 지시로 인해 다른 곳에서 활동하던 주재원들은 이미 복귀를 했거나 복귀를 서두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또 다른 소식통은 “중국에 파견된 무역 주재원들이 가장 선호하는 활동 지역은 단둥 지역”이라며 “이는 본국(북한)과 가깝다는 잇점이 있는데다 다른 대도시에 비해 물가가 저렴한 탓도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또 단둥 지역은 북한과 무역을 하는 조선족이나 북한 출신 화교들이 가장 많아 그들과 거래를 틀 기회가 많다는 이점도 있고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본국(북한)을 드나들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북한 손님이 많이 드나드는 단둥의 한 식당 주인은 “그간 자주 보이던 북조선 단골 손님들이 요즘은 통 보이지 않아 귀국한 줄 알고 있었다”면서 “알고 보니 그들 중 상당수가 본래의 파견지역으로 이사를 했다는 사실을 최근에 알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당국이 무역 주재원들에게 원래의 파견지로 복귀할 것을 지시한 배경을 두고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태영호 공사 등 해외주재 북한 엘리트층의 망명사건과 무관치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주재원들이 임의로 활동 지역을 바꾸면 이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데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에 해외주재원의 통제 강화 차원의 조치라는 게 소식통의 분석입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주재원들은 매일 한번 이상 자신의 동선을 해당 지역 공관의 보위지도원에 전화보고를 해야 하는 등 감시망에 놓여있는 사람들인데 이들이 활동 지역을 임의로 바꾸게 되면 통제 자체가 느슨해 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