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유엔은 지난해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에서 식량 지원에 대부분을 할애했습니다. 유엔은 아이티의 재난에 관계없이 북한의 식량 안보 사업을 중점으로 지원을 계속할 계획입니다.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이 지난해 북한에 집행한 중앙긴급구호기금 중 (CERF: Central Emergency Respond Fund) 대부분이 북한의 식량 지원에 사용됐다고 유엔 인도지원국이 1일 밝혔습니다.
유엔 인도지원국이 최근 발표한 ‘2009년 중앙긴급구호기금 집행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국제사회의 지원 감소에 따른 자금부족에 대한 지원금(UFE: Underfunded Emergency)으로 총 1천900만 달러를 받았습니다. 특히 자금부족에 따른 지원금(UFE) 명목에서 북한은 15%를 받아 짐바브웨와 함께 최대 수혜국이었고 전체적으로는 7번째로 많은 지원을 받았습니다.
유엔 인도지원국의 브라이언 그로간 사무관은 유엔 기구가 식량 안보와 영양 공급, 보건을 북한이 가장 필요한 사업으로 결정하고 중앙긴급구호기금 1천900만 달러의 대부분을 세계식량계획과 식량농업기구, 유니세프에 할당했다고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Brian Grogan: 북한에서 일하는 유엔 기구들은 가장 절실한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 식량안보, 보건, 그리고 영양 공급을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유엔의 긴급지원금 대부분이 세계식량계획과 식량농업기구, 유엔아동기금에 전달됐습니다.
특히 세계식량계획(WFP)이 1천220만 달러를 집행했고, 식량농업기구(FAO)도 290만 달러를 지원받아 중앙긴급구호기금의 전체 1천900만 달러 중 80%가 북한의 식량 지원과 식량 안보 사업에 쓰였습니다. 그로간 사무관은 그만큼 북한의 식량 사정이 열악해 중앙긴급구호기금 대부분이 식량 지원에 쓰이고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이밖에도 유엔아동기금이 200만 달러를 받았고, 세계보건기구와 유엔인구기금도 각각 나머지 중앙긴급구호기금을 받아 북한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로간 사무관은 올해도 북한을 인도주의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자금이 부족한 국가로 선정해 상반기에 800만 달러의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책정했다고 밝히면서 유엔 기구들이 기금의 사용처를 결정하겠지만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역시 식량 안보와 영양 공급, 보건 분야에 지원을 집중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그로간 사무관은 지난달 막대한 지진 피해를 입은 아이티에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고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이미 주요 지원국의 충분한 현금 지원이 확보된 만큼 이로 인한 대북 지원의 감소나 연기 등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은 유엔이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지원한 2006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모두 4천150만 달러의 지원을 받게 됐습니다.
지난해 유엔 인도지원국은 51개 국가와 지역 내 466개의 사업에 약 3억 7천900만 달러의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집행했으며 전년도보다 3천만 달러가량 감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