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 대북지원 활동 ‘불투명’

0:00 / 0:00

앵커 : 북한 평양에 사무소를 두고 활동하고 있는 유엔아동기금(UNICEF)의 대북지원 활동의 투명성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유엔아동기금(UNICEF) 대북 지원 사업의 불투명성을 밝혀낸 유엔 내부감사조사국(OAIA)의 최근 보고서.
유엔아동기금(UNICEF) 대북 지원 사업의 불투명성을 밝혀낸 유엔 내부감사조사국(OAIA)의 최근 보고서.

유엔아동기금(UNICEF)이 각종 대북 지원사업 명목으로 지급해 온 현금의 사용도가 불투명하다는 내부 감사 결론이 나왔습니다.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는 지난 17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아동기금(UNICEF)의 2016-2017년 활동 계획 및 예산을 심의하는 회의에서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경제사회이사회는 유엔 내부감사조사국(OAIA) 보고서를 인용, 2013년 11월 1일~2014년 11월 30일 대북 지원 명목으로 총 390만 달러의 현금 이전이 있었으며, 이중 300만 달러는 국제보건기구(WHO), 나머지 90만 달러는 협력관계의 정부인 북한 당국에 상환(reimbursement) 형식으로 전달됐다고 밝혔습니다.

내부감사조사국은 390만 달러 상당의 현금 및 상환 형식의 거래 10건을 집중 분석한 결과, 유엔이 대북지원 명목으로 지급한 자금과 실제 지원 활동비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북한당국이 유니세프의 지원에 대한 사용내역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점도 이 같은 문제를 야기한 데 일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 당국으로 상환 형식으로 전달된 지원금과 지원 활동비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국제보건기구로 지급된 지원금과 활동비 역시 명확하게 표기되지 않은 것입니다.

양측 모두 유엔이 대북 지원 활동 명목으로 지급한 예산보다 실제 활동비로 적은 액수를 사용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습니다.

유엔 내부감사조사국은 유엔아동기금(UNICEF) 평양사무소 운영 실태와 관련, 지원에 필요한 기부자 부족과 기록 보존의 부족 두 가지를 지적했습니다.

이어서 내부감사조사국은 북한이 지원금의 출처와 지급인, 수혜자, 지원 목적과 사용도 등을 명확하게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유엔의 ‘기금 승인 및 지출 허용 서식(FACE)’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며, 평양 사무국으로부터 앞으로 이 서식을 사용하겠다는 확약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또 유엔 내부감사조사국은 이번 조사 기간에 유엔아동기금 평양사무소가 지원 활동에 필요한 현금 보충을 전혀 받을 수 없었으며, 이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의 대북 제재가 인도적 지원과는 별도라고 하지만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