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18일 발표한 대북제재를 골자로 한 행정명령이 식량지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잡니다.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오마바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 행정명령이 식량지원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킹 특사는 오바마 대통령의 대북 행정명령이 발효된 19일 국무부에서 외신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 결정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인도적 필요에 의해 결정할 사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18일 불법 무기거래에 연루된 혐의로 북한 동방은행을 추가 대북 제재대상 기관으로 지정해 미국내 북한자산을 동결하고 미국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금지한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킹 특사는 대북식량지원과 관련한 한국과의 관계에 대해선, 한국이 대북 식량지원을 반대해도 미국이 독자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로버트 킹/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미국은 독립적으로 식량지원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 한국 당국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자문을 구할 것입니다."
킹 특사는 특히 식량지원이 이뤄지더라도 북한측과 함께 감시분배 문제에 대해 협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로버트 킹 특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은 식량의 배급과 분배의 감시감독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미국은 세계식량계획이 발표한 북한식량사정 조사 보고서를 계속 검토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들과의 협의도 계속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식량사정 조사를 위한 미국 정부 대표단의 파견에 대해선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지원을 하기로 결정한다면 빨리 이뤄지는 것이 확실히 낫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26일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습니다.
[로버트 킹 특사] "언제나 그래왔듯이 미국인이 북한을 방문해 북한의 지도자와 대화를 나누는 것은 필요한 것이고 도움이 되며 또 생산적인 일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는 것도 미국을 위해 고무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킹 특사는 18일 한국의 동아일보와 가진 회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모든 것을 다 양보한다 하더라도 미국과 북한의 관계개선 문제는 북한의 인권상황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면서 '북한 주민들을 다루는 태도를 개선한다면 미국과의 관계도 크게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탈북자문제에 대해서도 '스스로 원하는 나라를 택해 살 수 있는 탈북자의 권리를 적극 지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