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협, 밀가루 분배 영상 통일부에 제출

0:00 / 0:00

MC: 대북 밀가루 지원에 나선 민간단체가 분배 과정을 담은 영상물을 통일부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민간단체가 북한 현지에서 분배 현장을 담은 동영상을 정부에 제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민화협, 그러니까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는 남측의 대북민간 지원단체로서 7월 말부터 최근까지 밀가루 천 톤을 북한에 지원했습니다.

당시 한국 정부는 지원 조건으로 분배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분배 과정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요구했었습니다.

이에 따라 민화협은 지난 7월 3일부터 6일까지 황해북도 사리원시를 직접 방문해 자신들이 지원한 밀가루가 주민에게 잘 전달되는지를 확인하고 관련 영상물을 찍어 최근 통일부에 증거 자료로 제출했습니다.

분배 감시를 목적으로 한국 민간단체가 직접 나서 영상물을 찍는 것을 북한이 허용했다는 점에서 향후 대북지원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민화협 이운식 사무차장의 얘기입니다.

이운식

: 당연히 북한은 원하지 않죠. 사진도 그렇고 동영상을 찍는 것에 대해 북한은 기본적으로 거부 반응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우리 정부에서는 이런 게 보장돼야 물자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득하고 협조를 구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가 요구하는 분배 감시의 수위가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북한이 이를 계속 수용할지는 의문입니다.

실제로 일부 민간단체는 한국 정부의 요구대로 분배감시를 강화하면서 실무자 간 의견 충돌이 잦았다고 말합니다. 이운식 사무차장입니다.

이운식

: 지금 남북이 서로 신뢰하지 않고 있잖아요. 적절한 수준에서 분배 감시를 해야 지 지나친 모니터링은 자칫 일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 한 관계자는 “분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사진보다는 될 수 있으면 동영상이 좋다”며 “분배감시에 대한 완화 요구는 남북관계를 고려해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몇몇 전문가들은 “북한이 일단 동영상 촬영을 허용했다는 점에선 한걸음 진일보했다고 볼 수 있지만, 실제로 분배의 투명성을 확보했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전략센터 김광인 소장의 얘기입니다.

김광인

: 증거를 남긴다는 차원에서 영상물은 찍었지만, 그것이 진짜 취약계층의 손에 전달됐다고 100% 확신하기에는 아직 부족합니다. 그래서 지금 시작이지만, 북한 주민에게 구호물자가 제대로 전달됐다고 확신이 들 때까지 분배감시는 계속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민화협의 밀가루 지원은 ‘그동안 평화3000’ ‘어린이어깨동무’ 등이 함께 했으며, 9월 말까지 천500 톤을 추가로 전달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