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4일 이사회서 대북 식량지원 논의

0:00 / 0:00

MC: 대북식량지원 대상을 350만 명으로 확대한 세계식량계획(WFP)은 오는 4일 이사회를 열어 자금 확보 방안을 논의합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산하 식량구호기구인 세계식량계획은 본부인 이탈리아 로마에서 이사회를 열고 지난달 29일 발표한 '북한의 취약 계층을 위한 긴급식량지원'(Emergency Food Assistance to Vulnerable Groups in the DPRK/EMOP 200266)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세계식량계획의 프랜시스 케네디 대변인은 이사회에서 대북식량지원을 주요 현안으로 다룬다면서 식량지원과 분배감시, 기금 모금 등 대북지원과 관련한 전반적인 문제를 논의한다고 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내년 3월까지 약 350만 명의 북한 주민에 31만여 톤의 식량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원 대상은 어린이가 약 215만 명으로 가장 많고 그 외 임산부 약 54만 명, 60세 이상 노인 약 87만 명 등입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이 입수한 세계식량계획의 지원계획서을 보면, 유엔은 지원 대상별로 식량을 제공하는 기간을 구분했습니다.

6세 이하의 보육시설에 사는 어린이와 16세까지의 기숙학교 학생, 그리고 소아병원에 입원 중인 어린이 환자와 보호자 등 13만여 명은 앞으로 12개월간 식량과 영양강화과자를 받습니다.

임산부 약 54만 명은 아이를 낳은 후 일 년까지 추가로 식량을 지원받습니다.

집에서 등하교하는 10세 이하 어린이 약 185만 명은 앞으로 250일간 학교에서 영양강화과자를 지급받습니다.

약 87만 명의 노인은 추수철인10월까지 식량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지난해 10월과 지난 2월 북한을 방문해 식량 수급 상황을 조사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7개 도와 1 직할시의 109개 군을 긴급식량지원 지역으로 선정했습니다.

7개도는 량강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강원도, 황해북도, 황해남도, 평안남도이며 직할시는 남포입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북동지역의 식량난이 특히 심각하다며 량강도와 함경북도, 함경남도에 지원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군사시설이 많다고 알려진 자강도와 평안북도, 평양 지역의 주민은 세계식량계획의 긴급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북한에 들여갈 식량을 북한의 최대 항구인 남포 외에 함경북도의 청진항과 함경남도의 흥남항을 통해 운송하기 위해 한국의 부산항에서 중간 분류작업을 한 뒤 청진과 흥남으로 곡물을 옮기는 안을 추진 중입니다.

식량이 주민에 잘 전달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분배 감시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북한 외무성 산하의 국가조정위원회와 맺은 협약에 분배감시를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에 주재하는 국제요원의 수를 기존의 10명에서 59명으로 6배 늘렸고 국제요원 다섯 명에 한 명 꼴인 12명은 한국어를 하는 요원으로 배치됩니다.

세계식량계획 요원의 60% 이상은 주민에 식량이 잘 전달되는지를 감시하는 역할을 주 업무로 할 예정입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오는 8월에 대북식량지원과 관련한 중간 평가(during-action-review)를 해서 지원 대상과 식량을 재조정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