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WFP, 세계식량계획은 현재 북한 당국과 새로운 식량 사업에 대해 논의중이며, 수주 안에 구체적인 지원 계획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수경 기자가 전합니다.
북한 주민들에 대해 식량구호사업을 펼치고 있는 유엔의 세계식량계획은 오는 6월 기존의 긴급지원 사업(Emergency Operation)이 완료됨에 따라 다른 후속 사업에 관해 북한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며 수주 안에 구체적인 계획을 알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식량계획에서 북한을 담당하는 레나 사벨리 대변인은 최근 자유아시아방송에 보낸 전자 우편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후속 사업은 북한의 식량 상황과 국제사회의 지원, 그리고 북한 정부의 의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Lena Savelli: This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od needs, the support offered by the host government and the donor community
세계식량계획이 북한에서 다른 후속 사업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후속사업의 규모와 대상, 방법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와관련해 사벨리 대변인은 아직 논의 중인 사안이라서 밝히기 힘들다고 말하고, 다만 세계식량계획은 식량을 필요로 하는 더 많은 북한 주민들에게 식량 구호 사업을 지속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벨리 대변인은 이어 북한의 최근 식량 사정에 대해 세계식량계획의 자체 조사 결과, 지난해와 비교해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주민들은 여전히 쌀과 옥수수, 채소로 구성된 열악한 식사를 하고 있어 단백질과 지방이 함유된 균형잡힌 식단이 절실하다는 설명입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북한의 전반적인 식량 상황과는 별개로 영양 실조로 고생하고 있는 여성과 아동 등 취약계층과 식량의 접근이 제한돼 있는 특정 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영양 상태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사벨리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사벨리 대변인은 특히 날씨가 추워지면 신체가 필요로 하는 열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북한의 취약 계층에게 겨울철은 유난히 힘든 시기라고 덧붙였습니다.
2008년 9월부터 시작된 세계식량계획의 현 ‘긴급지원 사업’은 당초 지난해 11월까지 미화 5억 400만 달러를 들여 북한 주민 620만 명을 대상으로 식량을 제공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미국과 한국 등의 지원이 급격히 줄어든 데다가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이후 다른 서방 국가들의 신규 원조마저 대폭 감소함에 따라, 세계식량계획은 북한에 대한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축소해 왔습니다.
그 결과 세계식량계획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당초 목표액의 18%밖에 지원금을 모금하지 못했으며, 현재 기존의 사업을 7개월 연장한 상황에서 지원 대상이었던 620만 명 가운데 약 200만 명에게만 식량을 공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