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약 350만 명의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1년간 진행돼온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긴급식량지원이 다음 달로 종료되고 오는 4월부터는 지원 대상을 대폭 축소하는 영양지원사업으로 전환됩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지난해 4월에 시작한 ‘취약계층에 대한 긴급식량지원(Emergency Food Assistance to Vulnerable Group)’을 예정대로 다음 달에 종료한다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유엔의 대북 지원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평양을 방문 중인 나나 스카우 세계식량계획 북한지원 담당관은 긴급식량지원을 연장하지 않고 4월부터는 원래의 대북지원사업으로 전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010년 7월에 시작된 원래의 대북사업은 250만여 여성과 어린이에 영양을 지원하는 사업(Nutrition Support to Women and Children)이었습니다.
북한 당국의 요청으로 지난해 2월에 유엔의 전문가들이 식량상황을 조사한 결과 610만 명이 굶주릴 수 있다고 평가했고 세계식량계획은 4월부터 지원 대상을 350만 명으로 확대하는 긴급식량지원사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식량분배에서 소외된 양강도와 함경도, 강원도의 어린이와 임산부, 노인들 350만여 명에 식량을 전달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6개월 미만의 유아를 위한 쌀과 우유 혼합식품과 어린이를 위한 영양강화과자, 임산부에게는 곡물과 우유의 혼합식품에 옥수수와 콩우유를 섞은 식품을 함께 지급하고 노인에게는 비타민을 강화한 옥수수 가공식품을 제공한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세계식량계획의 실제 지원은 지난 1월까지 월평균 약 130만명으로 지원 대상 세 명중 한 명꼴에 그쳤습니다.
스카우 북한 지원 담당관은 국제사회의 모금 부족으로 지원 규모가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고 설명합니다.
22일 현재 세계식량계획이 공개한 대북지원 모금액은 약 7천300만 달러로 필요 경비 약 2억 1천만 달러의 34% 수준입니다.
한편, 지난해 12월 자유아시아방송이 입수한 세계식량계획 아시아지부의 ‘2012년 사업 예산’ 보고서를 보면 일 년 동안 북한을 지원하는 사업비를 미화 약 8천만(79,888,302) 달러로 예상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올해 3월까지의 긴급식량지원사업에 약 4천 300만 달러가 필요하고 4월부터 12월까지의 영양지원 사업에 약 3천460만 달러가 든다고 추산했습니다.
보고서는 목표한 자금이 확보되면 올해 말까지 북한의 여성과 어린이 157만 명에 약 12만 3천 톤의 곡물을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