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유엔 산하 구호기구인 세계식량계획(WFP)이 북한의 식량 지원 대상을 지금보다 4배 이상 많은 약 350만 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식량계획이 29일 새로운 대북 긴급 식량지원 사업을 발표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자유아시아방송이 지난 20일 보도한 내용대로 앞으로 일 년 동안 약 350만 명의 북한 주민에 35만 톤의 식량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11월부터 이달까지 세계식량계획의 식량지원을 받은 북한 주민이 월평균 약 85만 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4배가량 확대됐습니다.
유엔은 지난 2월 세계식량계획과 식량농업기구(FAO), 유엔아동기금(UNICEF)의 공동 조사단을 북한에 보내 식량 수급 상황을 확인한 뒤 610만여 명이 굶주릴 위기에 놓였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방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50만여 명의 지원 대상자를 선정했고, 이들은 주로 양강도와 함경남북도, 강원도, 자강도, 황해남북도의 어린이와 임산부 등 취약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공공분배체계(public distribution system)를 통해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곡물과 두유, 분말우유, 영양강화과자를 제공한다면서 그 어느 때 보다 엄격한 분배 감시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매달 북한의 400여 곳에 직원을 보내 식량 분배가 적절하게 이뤄지는지를 점검한다고 세계식량계획은 설명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 직원이 분배 감시를 위해 현지를 방문한다는 사실을 알리는 통보도 24시간 전에 하도록 시간을 줄었고, 도와 군 단위의 장마당도 접근하도록 북한 당국과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북한에 있는 국제 요원의 5분의 일이 한국어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앞으로 일 년간 긴급 식량지원 사업을 진행하지만, 10월의 추수 기간 이후에는 지원 대상을 다시 선별해서 영양상태에 따른 식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