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통일부는 북한을 돕기 위한 논의나 연구를 세계은행과 진행하고 있는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은 "북한에 정치적 돌파구가 생기면 신속히 지원에 나서겠다"고 세계은행의 김용 총재가 말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은행의 한국 사무소가 12월 4일 서울에서 문을 여는 가운데, 한국 정부와 세계은행이 북한을 돕기 위한 계획을 논의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은행의 서울 사무소는 북한에 변화가 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는 언론 보도도 있습니다.
이 같은 전망의 시발점은 “세계은행은 언제라도 북한을 도울 준비가 돼 있다”는 김용 세계은행 총재의 발언입니다. 김 총재는 지난 22일 워싱턴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에 정치적 돌파구가 생기면 신속히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한국 정부와 세계은행이 북한과 관련한 계획을 논의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정을 부인했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현재 우리 정부와 세계은행 간에 북한이 어떤 상황이 발생했을 때 북한을 어떻게 도울 것인지에 대한 그런 구체적인 논의나 협의는 현재로서는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은행의 서울 사무소는 “북한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김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현재로선 세계은행이 북한을 돕고자 한다고 해도 제약이 많습니다. 김용 총재도 22일 기자들에게 “세계은행이 북한을 돕기 위해선 북한이 먼저 도움을 요청해야 하며, 세계은행의 회원국이 되어야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출신인 김용 총재는 부친이 열아홉 살 때 북한을 떠나온 실향민이며, 부친의 나머지 6남매는 아직도 북한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12월 4일 서울에 들어서는 세계은행 한국 사무소에는 다양한 국제 금융기구들이 입주해 한국 정부 및 민간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활동을 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