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당대표자회가 끝나자마자 북한당국이 주민들의 외화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북한당국은 주민들에게 외화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서약서까지 강요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중국 단동에 거주하는 북한 출신 화교 류 모씨는 최근 "북한주민들이 '외화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서약서에 손도장을 찍어 제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류 씨는 이 같은 얘기를 신의주에 거주하는 동생한테서 전해 들었다면서 각 기업소와 인민반별로 주민들의 서약서를 받고 있는데 주민 사이에 불만이 많다고 말했습니다.
류 씨는 "사람들은 당대표자회가 끝나면 김정은 대장이 민심을 얻기 위해서라도 주민들이 환영할만한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했는데, 이런 기대에 어긋나는 대책이 나와 매우 실망스럽다"는 것이 현지의 분위기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을 오가면서 상거래를 하는 중국 측 상인들은 이런 조치를 어느 정도 예상했다는 반응입니다.
지난달 거래 차 평양에 다녀온 조선족 사업가 이 모 씨는 "조선에서 식당과 상점에서 주민들의 외화사용이 일상화 되다시피 한 것을 보고 놀랐다"면서 이러다가 언젠가 날벼락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그것이 좀 빨리 온 것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단동에서 북한과 거래하는 화교 조 모 씨는 아직 외화사용 금지에 대한 분명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면서 "이것이 사실이라면 조선과 장사하는데 또다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작년 11월 30일 전격적인 화폐개혁을 단행하면서 장마당 폐쇄 조치와 함께 주민들에게 외화사용을 금지시킨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 조치가 주민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주민반발이 거세지자 올해 1월부터 장마당을 다시 허용하고 외화 사용 금지도 슬그머니 철회했습니다.
외화 사용에 대한 단속이 느슨해지자 주민들 사이에서 외화 사용이 증가했고 급기야는 당국에서 운영하는 상점에서도 외화로만 물건구입이 가능한 실정입니다. 북한을 왕래하는 중국인들은 평양이나 신의주 등지의 식당에서는 외화가 아니면 음식을 사먹지도 못한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북한 소식통들에 따르면 당국으로서는 이런 상황이 신화폐의 권위 손상은 물론 체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아래 다시금 외화 사용 금지 조치를 들고 나온 것으로 분석합니다.
현재 당국의 외화 사용 금지 조치가 신의주에만 국한된 것인지 북한 전역에 내려진 것인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그러나 신의주가 평양과 더불어 외화 사용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조치가 북한 전역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북한 내부 사정에 밝은 중국 상인들의 예상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