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영국에 본부를 둔 재유럽조선인총연합회는 북한 주민의 인권 향상을 위해 지난 8일부터 발간하는 '자유북한' 신문을 유럽 내 11개 북한 공관에 보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지난 16일1차로 발송한 데 이어 두 번째입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 민주화를 위한 인터넷 신문 ‘자유북한’을 2년 전부터 운영해 온 유럽 내 탈북자 단체 재유럽조선인총연합회는 지난 8일부터 격주로 종이신문 ‘자유북한’을 영문판과 한글판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 단체의 김주일 사무총장은 30일 2차로 유럽 내 11개 북한 공관을 포함해 전 세계 40개국에 신문을 우편으로 배송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김 사무총장: 나라별로는 40개국, 각국의 의회, 유엔 등 국제기구, 국제비정부기구 등 60개 곳에 보내고요. 유럽의 11개 북한대사관에도 ‘자유북한’을 직접 배송하고 있습니다.
영국을 비롯해 유럽 내 11개 북한공관과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는 한국의 국회의원과 인권단체 등 10여 곳을 포함해 총 80여 개 개인과 단체, 기관에 두 차례씩 신문을 보낸 것입니다. 한글판과 영어판 종이신문은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정치범수용소와 탈북난민의 실태 등을 알리는 인터넷 신문의 내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해 주민의 인권 유린 실태나 김정은 체제에 대한 북한 일반 주민의 감정 등에 대해 국제사회가 추상적인 개념으로만 인식하면서 잘못된 대북 전략을 세우는 오류를 범할 수 있어 신문을 제작하고 있다고 김 사무총장은 말했습니다.
김 사무총장은 그러나 탈북자의 시각에서 파악한 외부사회의 정보를 북한 주민에게 전달하는 것이 종이신문을 발간하게 된 더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사무총장: 북한사회가 예전에 비해 많이 바뀌었고 외부 소식을 많이 듣는다고 얘기하지만, 북한에는 연좌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내가 탈북할 경우 가족이 받는 희생을 두려워 하고, 외부 소식을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국경지대에 살아도 외부소식을 아는 사람과 알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겁니다.
북한은 일부 특수 계층을 제외하면 인터넷이 없는 ‘오프라인’ 국가라서 인쇄된 신문을 제작해 주민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민주주의의 핵심 중 하나인 선거제도를 경험하지 못한 북한 주민은 그들이 스스로 원하는 지도자를 선출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알려주어야 하고, 인터넷은 물론 전화도 없는 대다수 북한 주민에게는 종이 신문이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따라서, 김 사무총장은 현재 32면짜리 한글판 신문에 실리는 광고수익료 등으로 영어판 신문을 제작하고, 이어 내년 4월 경 북한 주민에게 필요한 정보만 요약해서 담은 북한판 신문도 발간할 계획입니다.
김 사무총장은 자신과 일부 탈북자들이 마련한 자금 6천 파운드, 미화 9천 여 달러로 영어판과 한국어판 종이신문 제작을 시작했습니다. 종이신문을 두 차례 제작하는 데 이미 3천 200파운드, 미화 4천900여 달러가 소요됐습니다. 김 사무총장은 앞으로 신문을 전 세계 50여 개 북한 공관에 배송할 수 있도록 부수를 늘릴 계획이라며 뜻있는 기부자들의 지원을 희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