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원 정착 교육 기간 1개월 늘린다

탈북자의 초기 정착교육을 위한 하나원 교육기간이 늘어나고, 탈북자 진위를 가리기 위한 합동심문 조사기관이 국가정보원으로 이관되는 등 현 정부 들어 탈북자 지원과 심사 정책에서는 일련의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0:00 / 0:00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탈북자들의 초기 정착교육을 위한 하나원 교육기간이 현행 8주에서 내년 3월부터는 12주로 늘어나게 됩니다.

통일부 김호년 대변인은 22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하나원생의 교육기간이 확대가 됩니다. 지금까지는 두 달이었는데, 석 달로 내년부터는 교육기간이 확대가 되기 때문에 교육 프로그램 개편과 관련한 커리큘럼이 확정을 한다고 합니다.”

하나원 교육이 1개월 늘어나게 된 배경에 대해 통일부는 탈북자들의 사회적응 교육과 초기 정착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일련의 문제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의 8주 기간에 탈북자들에게 공급할 임대주택 물량을 확보하고 주민등록증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항상 모자란다는 것입니다.

하나원 교육기간이 늘어나면서 언제나 빡빡하게 진행되던 탈북자들의 주택 배치, 주민등록증 부여 등을 여유 있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고 통일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올 들어 하나원의 수용 능력이 두 배로 대폭 확장되어 교육 기간을 1개월 늘이는데 공간적으로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128억5천만원(미화 약 1천만달러)을 들여 하나원 교육관과 생활관, 직원 숙소 등을 새롭게 건설했습니다.

이번 증축으로 종전에 300명을 수용할 수 있었던 하나원은 한번에 600명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나원이 증축되면서 연간 4천 200명의 탈북자들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나원 교육기간이 늘면서 통일부는 탈북자들이 선호하는 컴퓨터 교육을 초급, 중급에 이어 고급반까지 설치하고 자격증까지 취득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만들 예정입니다.

한국사회에 빠르게 적응하도록 언어교육이나 폴리텍 대학과 연계하는 기술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통일부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탈북자들이 한국에 입국하면 서울시 모처에 있는 '대성공사'로 인도되어 약 2달간의 집중 조사를 받아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10월부터 탈북자 진위와 대공용의점 등을 가리기 위한 ‘대성공사’의 업무도 국정원 주관의 ‘종합합동심문소’로 이관되었습니다.

탈북자로 위장한 간첩 원정화 사건이 발생하고 탈북자의 진위를 가리기 위한 정밀조사가 필요한 상황에서 ‘대성공사’의 업무가 국가정보원에 넘어가게 되었다고 한국 언론은 전하고 있습니다.

‘종합합동심문소’는 기존에 정부 합동심문 참여기관인 국방부, 경찰, 기무사, 정보사뿐만 아니라 통일부와 해양경찰청 등 여러 유관부문의 합동기관들을 망라하고 있습니다.

올해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들은 모두 2천729명으로, 2000년 들어 1천명을 넘어선 탈북자의 국내 입국은 매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