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로 내정된 힐 차관보는 25일 상원 외교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6자회담) 3단계에서 미국과 북한 간 관계 정상화를 논의할 때 인권 문제가 의제에 포함될 예정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6자회담의 미국 측 수석대표로 활동하면서 북한의 인권문제에 관심이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답하면서 "6자회담이 핵 신고 문제로 2단계에서 진전을 이루지 못하는 바람에 북한의 인권 문제를 다룰 기회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힐 차관보는 북한의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구체적인 방식으로 북한에 양심수 명단을 제시하거나 형사 소송을 위한 규정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방식 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한 브라운백 상원의원의 우려를 깊이 존중한다"면서 "북한의 인권 기록이 세계에서 가장 나쁘다는 데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힐 차관보: I very much respect Sen. Brownback’s concern about human rights…. The North Korea’s human rights record is one of the worst in the world. There is no question….
힐 차관보는 지난해 브라운백 상원의원에게 “북한과 협상할 때 대북 인권특사를 참여시키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느냐”는 로저 위커 상원의원(공화, 미시시피)의 지적에 “당시 다음 단계에 가면 이 문제를 다루겠다고 약속했다”고 답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지난 2005년 여름 중국의 입회가 있어야 북한과 양자접촉을 할 수 있다는 당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의 지침을 어기고 북한과 양자회담을 했다는 위클리 스탠더드의 보도에 관해서 “6자회담의 진전을 위한 선택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당시 라이스 장관이 화를 낸 대상은 중국이었지 내가 아니었다”며 “일부 언론이 이 문제를 좀더 극적으로 표현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앞서 브라운백, 존 매케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 등은 청문회를 앞두고 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북핵 협상을 주도한 힐 차관보의 주이라크 대사 인선을 철회하라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청문회에서 상원 외교위원회의 존 케리 위원장과 리차드 루거 공화당 간사는 힐 차관보가 “(이라크 같은) 복잡한 외교적 노력을 요구하는 데 완벽한 배경을 가졌다”면서 지지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 관계자는 “힐 차관보의 주이라크 미국 대사 인준을 위한 첫번째 관문인 외교위원회 표결이 오는 31일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