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은 북한의 대동크레딧은행의 지분을 70% 소유한 홍콩의 피닉스커머셜벤처와 북한 정권의 불법행위의 가능성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동크레딧은행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을 관리하는 노동당 39호실이 운영하는 조선대성은행이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이 홍콩 투자사와 북한과의 연계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해외 비밀자금을 추적해 온 일본인 인권운동가 카토 켄 아시아인권 대표는 최근 홍콩에 등록된 투자사 피닉스커머셜벤처(Phoenix Commercial Venture)에 대해 북한의 정권과 관련한 불법행위가 있는지 조사해 줄 것을 요청했고,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경찰 등 해당 기관에 이와 관련한 협조를 구했다고 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카토 대표:
피닉스커머셜벤처는 북한의 조선대동은행의 지분을 70%나 소유하고 있습니다. 노동당 39호실의 조선대성은행이 나머지 30%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카토 대표는 홍콩 정부 관리에게 110 여 통의 전자 우편을 보냈고 5일 홍콩 특별행정구정부의 도널드 챙(Donald Tsang) 행정 수반 측으로부터 피닉스커머셜벤처의 북한 정권과 관련한 불법 행위 조사를 경찰과 재경사무국(Financial Services and the Treasury Bureau)에 의뢰했다는 답장을 받았습니다. (We have relayed the matter raised to the Financial Services and the Treasury Bureau, and the Hong Kong Police Force for follow-up.)
카토 대표는 홍콩 당국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인 2009년 6월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수사대(Financial Crimes Enforcement Network)가 발표한 경고 대상 금융기관 목록에 대동크레딧은행과 조선대성은행이 포함된 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지난달 추가 대북 금융제재를 발표하고 북한이 불법행위와 도발적인 행동을 멈추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합류할 것을 요청한 가운데 홍콩이 국제금융의 중심지라는 명성에 걸맞도록 앞장서서 돈세탁 등 북한의 불법 금융 거래를 조사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카토 대표는 홍콩 당국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특히 대동크레딧은행의 3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조선대성은행이 북한 정권의 비자금을 관리하는 노동당 39호실이 운영하는 대외거래 결재 은행이며, 노동당 39호실은 지난달 31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추가금융제재 대상에 포함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카토 대표는 미국의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를 인용해 스튜어트 레비 재무부 차관이 다른 금융기관도 추가로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밝히고 홍콩 당국이 북한 정권의 돈 세탁을 차단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The Washington Post says,"Stuart Levey, a senior Treasury official, told reporters that other entities could be named later under the sanctions."The effect of this is potentially global in application,"…)
이와 관련해 미국 재무부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아는 바가 없으며, 이 회사가 미국의 추가 금융제재와 관련한 대상이 될 것인가에 대한 답변을 해 줄 수 없다고 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