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영국 정부는 북한 인권유린 책임자의 국제사법재판소 회부를 지지한다고 영국 외교부의 사이다 바르시 선임부장관이 재차 강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영국 외교부의 사이다 바르시(Sayeeda Warsi) 선임부장관은 23일 열린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최종보고서 이행방안에 관한 상원의원들의 대정부 질의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을 공식 논의하도록 지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바르시 선임부장관 : 올 가을 유엔총회에서 북한인권문제에 주목해야 합니다. 인권문제를 다루는 제3위원회에서 북한인권 결의에 회원국들의 강력한 지지를 얻어야 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조사내용과 권고를 정식으로 다루도록 해야 합니다.
바르시 선임부장관은 지난 봄 발표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최종보고서 권고에 따른 영국 정부의 행동을 촉구하는 데이빗 앨튼, 캐롤라인 콕스 상원의원 등의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발표한, 국가에 의한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 유린에 대한 권위있는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행동할 책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바르시 부장관은 영국 정부는 이미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다각도로 행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바르시 부장관 : 영국 정부는 다른 회원국들과 함께 지난 3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채택된 대북인권 결의에 책임자 처벌에 관한 강력한 어조가 포함되도록 했습니다. 또한 결의에 조사위원회의 보고서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돼야 한다는 권고를 담았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 4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장 등과 가진 비공식 북한인권 토론회, 유엔 인권최고대표와의 대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마르주키 다루스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물론 미국, 한국, 일본, 프랑스 등과 대화와 협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대정부 질의에서는 영국 의회 내 초당적 모임인 ‘북한에 관한 상하원 공동위원회’ 의장인 앨튼 의원과 콕스 의원 이외에 영국 잉글랜드 동부도시 피터보로우 주교 등이 북한의 종교탄압과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북한 당국에 의한 정보통제 등을 막기 위한 영국 정부의 조치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앨튼 의원은 특히 북한이 최근 두 주만에 네 차례나 단거리 미사일 등을 발사한 것은 북한 정권이 북한 주민과 지역 안보를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며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앨튼 의원 : 2012년에 북한은 주민의 식량난을 해결하는 대신 탄도미사일프로그램에 10억 3천 달러, 시계, 가방, 술 등의 사치품 구입에 7억 달러를 낭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주민의 고통은 국제사회의 행동을 촉구한다는 설명입니다.
이번 대정부 질의는 올 가을 유엔총회에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보고서 권고 이행 문제가 논의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해 열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