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지난 6일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일하는 미국인을 추가로 억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제인권단체들은 이 대학 내 외국인들의 신변 안전을 우려하고 나섰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운영 관계자로 일하던 미국 시민 김학송 씨가 반공화국 적대행위를 감행했다는 혐의로 지난 6일 억류됐다는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의 7일 보도에 국제인권단체들은 이 대학 내 외국인의 신변 보장 강화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미국의 인권단체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평양과학기술대학은 미국인의 안전문제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평양과학기술대학은 한국과 한국계 미국인의 기금을 바탕으로 시작된 선의의 합작사업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 대학에서 일하는 외국인 특히 미국인의 안전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에서 대학 측의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미국 내 한인사회와 남한 기독교인들의 기금으로 2010년 평양에 문을 연 남북한 최초의 합작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은 한국과 미국, 유럽 등의 외국인 강사가 영어로 강의하고 있습니다.
현재 북한이 억류한 미국 시민은 조선족 출신으로 2000년대 중반 미국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시민권을 획득한 김학송 씨와 지난달 평양과기대에서 회계학을 강의하고 출국하려다 억류된 김상덕 씨 그리고 한국계 미국인 김동철 씨와 오토 프레드릭 웜비어 씨 등 총 4명입니다.
영국에 기반을 둔 인권단체 ‘세계기독교연대(CSW)’의 벤 로저스 동아시아팀장은 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은 평양과기대에 관계된 한국계 미국인을 한국과 미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인질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평양과기대에 대한 지원을 즉각 중단하기 보다는 사태의 추이를 주시하면서 추가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로저스 팀장 : 평양과기대 관계자 대다수는 기독교인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김정은 정권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 기독교 이 세 가지 요소를 다 갖고 있는 두 명의 미국인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러나 평양과기대가 북한을 외부세계와 완전히 고립시키지 않고 엘리트 계층에 열린 토론과 사고 방식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요소가 있다고 봅니다.
미국 뉴욕에 기반을 둔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의 필 로버트슨(Phil Robertson) 아시아담당 부국장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이들 억류 미국인이 즉각 석방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김학송 씨의 억류 이유를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지만 북한의 사법체계는 당이 원하는 대로 형을 선고하는 투명성이 없는 제도라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즉각 미국인을 석방하고 자국민의 인권을 완전하게 보장해야 할 것도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백악관의 숀 스파이서(Sean Spicer) 대변인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김학송 씨의 추가 억류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스파이서 대변인 : 분명히 우려할 사항입니다. 국무부를 통해 이들의 석방을 위해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과 협력할 것입니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해외 미국인의 복지와 안전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며 미국인의 북한 관광에 따른 위험을 강조했습니다. 국무부는 웹사이트에 북한 여행의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콘돌리사 라이스 전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미국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김학송 씨를 억류해 “자신들이 강력하고 미국을 고통스럽게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 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