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납치문제 해결에 초당파 체제

0:00 / 0:00

MC:

일본의 마쓰바라 진 납치문제 담당 대신은 아베 신조 전 총리, 납치의원 연맹의 히라누마 다케오 회장 등과 만나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초당파 체제로 대응해 가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지난 1월 중순 노다 요시히코 내각의 납치문제 담당 대신으로 기용된 마쓰바라 진 대신은 31일 북한에 납치된 요코다 메구미 씨의 부친 시게루 씨와 모친 사키에 씨, 아베 신조 전 총리, 납치의원연맹의 히라누마 다케오 회장 등과 만나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마쓰바라 진 대신을 비롯한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일본정부의 ‘대화와 압력’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초당파 체제로 대응해 가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회담을 마치고 난 후 요코다 시게루 씨와 사키에 씨는 “오늘 회담은 자민당 정권의 대북 교섭 경험을 민주당 출신의 납치문제 담당 대신에게 전수해 준 데 큰 의의가 있었다”고 말하면서 “납치 문제 해결에 모든 정당이 협력한다면 머지않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일본정부의 납치문제 대책본부의 작년도 예산 12억 엔 즉 약 1천 600만 달러 가운데 약 7할에 해당하는 1천 100만 달러가 집행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전체 예산의 9할이 배정된 ‘납치문제에 관한 정보 수집 및 분석 업무’가 제대로 가동되지 못한 때문입니다.

일본정부는 납치문제에 관한 정보 수집과 분석 업무를 강화하기 위해 납치문제 대책본부의 정보 수집비를 3년 전의 260만 달러에서 4.5배로 늘렸지만, 작년뿐 아니라 재작년의 집행 실적도 매우 부진했습니다.

예컨대 재작년에는 납치문제 대책본부의 예산 26만 달러를 들여 대한항공기 폭파범 김현희 씨를 일본으로 초대했지만, 정보 분석비의 집행 실적은 전체 예산의 약 2할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2008년 8월 이후 북일 교섭이 완전 중단되어 북한과 합의한 납치 재조사 문제에 별다른 진전이 없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납치문제 대책본부의 활동과 예산 집행은 납치문제의 진전이 없는 한 당분간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