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의 활동을 감시하는 민간단체 유엔 워치가 오는 11일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한국전 당시 민간인 납북문제를 조명하는 행사를 개최합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유엔의 활동을 감시하는 민간단체 유엔 워치(UN Watch)가 유엔에서 추진되는 북한 인권조사를 위한 독립된 기구 설치를 촉구하는 행사(Civilian Abduction During the Korean War As a War Crime)를 추진합니다.
유엔 워치의 레온 샐티엘(Leon Saltiel)씨는 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한국의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WKAFU)와 공동으로 민간인 납치와 같은 북한의 반 인도적 범죄행위를 다루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샐티엘 씨 : 저희 단체는 북한의 인권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여왔는데요.북한의 인권 유린을 중단시키기 위한 유엔의 독립적인 조사기구 설치를 지지하기 위해 납북자 가족 등이 증언하는 행사가 열립니다.
이날 마르주키 다루스만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대한 논의 후 이 행사가 열려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한 조사기구설치에 힘을 실어준다는 것입니다.
특히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가 발족되면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를 포함시키는 것을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전 관련 협상에서 군인에 비해 ‘민간인’ 납북자 피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휴전협정 60주년을 맞는 올해부터라도 유엔 차원의 국제적 관심이 요구된다는 설명입니다. 전쟁과 관련한 민간인 피해에 대해 본격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한 1949년 제네바협약 등 국제인도법(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에는 민간인 납치를 ‘전쟁범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WKAFU) 부설 한국전쟁납북사건 자료원(KWARI)도 참가합니다. 자료원의 이선민 국제팀장 등이 주제발표를 할 예정입니다. 자료원에는 북한에 의한 납북사건의 진실을 알리는 각종 자료와 납북자 가족이나 납북후 탈출한 사람들의 증언을 담은 영상물 등이 보관돼 있습니다.
이 단체는 이어 12일에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의 강경화 부대표와 유엔 강제실종실무그룹, 13일에는 국제적십자위원회 등과 면담을 가질 예정입니다. 이 행사에는 제1기 6∙25전쟁 납북자 지지를 위해 선발된 대학생 네 명도 함께 참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