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납북자 결의안’ 11월 셋째주 상정

0:00 / 0:00

MC:

한국전쟁 때 발생한 전쟁포로와 민간인 납북자의 생사확인과 송환을 촉구하는 미국 의회 결의안이 빠르면 11월 셋째 주 하원 외교위원회에 상정돼 채택될 예정입니다. 결의안이 이번 회기내 본회의를 통과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6.26 전쟁 때 북한에 억류된 뒤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전쟁포로와 실종자, 그리고 민간인 납북자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미국 하원 결의안(H. RES. 376, 이후 납북자 결의안)이 빠르면 11월 셋째 주에 하원 외교위원회에 상정돼 채택될 예정입니다.

미국 의회 관계자는 3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납북자 결의안’에 하원 외교위 소속 의원 6명을 포함해 34명이 공동발의자로 참여했다며 결의안 상정의 최소 요건인 외교위 소속 의원 10명이 포함된 25명의 공동 발의자 확보가 다음 주까지 충족될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예상했습니다.

한편, 결의안 상정 권한을 가진 일레나 로스-레티넌 하원 외교위원장이 전날인 2일 류우익 한국 통일부장관과 면담 때 “납북자 결의안의 처리를 도울 것”이라고 직접 언급했다고 다른 의회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비록 명시적이지는 않지만 사실상 하원 외교위의 결의안 상정과 채택을 지원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나타냈다는 분석입니다.

그 동안 의원들을 상대로 결의안의 공동 발의 참여와 지지를 촉구하는 청원운동을 벌여온 뉴욕 한인유권자센터의 김동석 상임이사입니다.

[

김동석 이사]

미국 의회의 여야 초당적 문제이며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의 가족의 문제이기도 한 이 결의안의 채택을 위한 청원을 펴면서 의회 지도부의 지지를 희망했는 데 외교위원장이 한국 통일부장관을 면담한 자리에서 직접 결의안과 관련해 긍정적으로 언급한 점은 결의안 채택에 밝은 전망을 줬다고 생각합니다.

김 상임이사는 결의안이 이번 회기 안에 하원 본회의에서 채택될 수 있도록 촉구하는 서한을 로스-레티넌 외교위원장에게 이날 전달하는 등 결의안 채택을 위한 막바지 의회 청원에 나섰습니다.

지난 7월 찰스 랭글 하원의원이 발의한 납북자 결의안은 한국전 때 발생한 미군과 국군 전쟁포로와 실종자에 대한 생사 확인과 함께 생존자 또는 유해의 송환을 북한에 촉구하고 미국 정부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이 민간인 납북자의 존재를 시인하고 생존자를 송환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