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일본 정부는 다음달 14일 수도 도쿄에서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 100인 대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일본에서는 다음달 16일까지 이어지는 북한인권침해문제계발주간을 맞아 ‘동북아시아정세와 납치문제’를 주제로 한 대규모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일본 납치문제대책본부와 법무성이 공동으로 다음달 14일 주최하는 이 행사는 후루야 게이지 국가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 담당상의 개막인사로 시작됩니다.
이번 행사를 담당한 납치문제대책본부의 한 관리는 정부차원에서 개최하는 납치문제와 관련된 행사 중 가장 큰 규모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 관리 : 네 처음으로 하는 겁니다. 우리 정부차원에서는요, (이렇게 큰 행사를) 처음으로 하는겁니다.
지금까지의 북한인권주간 행사에는 영화상영회나 음악회, 토론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는데 올해는 특히 납치문제를 집중적으로 토론하는 심도있는 행사가 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시즈오카현립대학의 이즈미 하지메 교수, 국제교양대학 고모리 요시히사 객원교수 등 네 명의 전문가가 김정은 체제, 북한을 둘러싼 관련국 동향, 일본의 대북 정책방향 등에 관한 기조연설을 할 예정입니다. 이어 학계와 정부 북한문제 담당자, 인권운동가 등 150여 명의 참석자들이 토론을 진행합니다.
이 행사에 초대된 일본의 인권단체 아시아인권의 가토 켄 대표는 일본 정부가 납북일본인의 귀환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가토 대표 : 지난 정부는 납북일본인 수가 수 백명에 달한다는 저희 인권단체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협상을 하려고 한데 반해, 후루야 게이지 납치문제 담당상은 이번 행사를 통해 북한 내 모든 일본인의 귀환을 추진하려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부 정부 관리들은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 문제 등을 앞세워 모든 일본인 납북자가 일본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권운동가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아 왔다는 것입니다. 가토 대표는 따라서 후루야 납치문제 담당상의 의지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일본인 납북자는 17명으로 이 중 5명이 2002년 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합의에 따라 귀국했습니다.
한편, 2011년 북한을 탈출한 전 북한 노동당 간부는 지난해 말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학회에서 이들 5명이 귀국한 후에도 41명의 일본인 납북자가 평양에 감금돼 있다고 증언하기도 했습니다.
일부 인권단체 관계자들은 납북자 수가 최대 수 백 명에 이를 수 있다며 이들이 전원 귀환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길 촉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