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당시 북한으로 끌려간 이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운동이 미주지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잡니다.
한국 국무총리실 산하의 6.25전쟁 납북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의 제성호 위원과 대표단이 미국의 수도 워싱턴을 찾았습니다.
제 위원과 일행은 2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들러 2013년 말까지 납북자와 관련된 신고를 접수하고 이를 토대로 한 납북자 생사여부 확인을 비롯해 사실을 규명하고 납북자들의 명예회복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제 위원 일행은 지난 28일 버지니아 애난데일에서 한국전쟁 당시 북한 인민군에 의해 북한으로 끌려간 가족을 둔 워싱턴지역 동포들을 위한 설명회를 가졌습니다.
한국정부의 인권대사를 역임한 바 있는 제 위원은 납북자 문제에 미주지역 동포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당부했습니다.
[
제성호 위원
] “이제라도 납북자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면 북한이 제2, 제3의 유사행위를 다시 하지 못하도록 막는 억지효과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납북자 문제는 과거에 발생했지만 그 피해는 지금도 계속되는 문제이고, 우리 국민들이 나의 문제요, 우리 형제, 이웃의 문제로 생각하고 관심을 기울여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조사된 한국전쟁 납북자의 수는 약 8만여명에서 12만명 정도.
많은 납북자들이 납치되는 과정에서 또는 북한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숨졌지만 아직도 가족들은 생존해 있을 거라 믿고 있어 납북자에 대한 생사확인이 시급하다고 제 위원은 강조했습니다.
또한 현재 납북자 상당 수가 한국에 있는 가족들과 떨어져 탄광 등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며, 이는 가족들이 서로 만날 수 있는 권리와 고향에 돌아갈 권리 등 기본적인 권리를 북한이 막고 있기 때문에 중대한 국제범죄 행위라고 지적했습니다.
[
제성호 위원
] “사실은 북한인권문제를 그렇게 좁게 봐서는 안됩니다.북한정권이 존재함으로써 발생하는 인권문제를 우리는 북한인권문제로 봐야 합니다. 그래서 탈북자 문제도 그렇고 이산가족, 납북자, 국군포로 문제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한편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 12월에 출범했으며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맡고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 위원회는 6.25전쟁 납북사건의 진상과 가족들의 피해를 규명하고 명예를 되찾아 주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