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유엔 북한인권 특별 보고관은 한국 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에 대북 인도적 지원을 조속히 재개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 특별 보고관은 28일 보도 자료를 내고 한국정부와 국제사회가 '효과적인' 대북 인도적 지원을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루스만 특별 보고관은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식량, 의약품을 포함한 대북 지원을 정치적 조건과 상관없이 다시 제공해야 하며, 이는 분배 현장 감시가 보장돼야 한다는 원칙 아래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북한의 어린이, 여성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식량과 보충 영양제 등의 지원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이어 "북한 정권은 인권과 관련한 국제 제도나 체제에 협력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유일한 국가"라고 비난했습니다.
그는 국제 체제와의 협력은 선택 사안이 아니라고 강조하면서 "북한은 유엔 인권 체제와 협력해 주민들에 대한 인권 침해를 중지하고, 국제사회의 인권 관련한 권고 사항들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면담한 탈북자들이 대부분 강제 수용소에서 심각한 고문과 처벌을 받은 것을 목격했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이에 더해 다루스만 보고관은 탈북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올해에 한국을 찾은 탈북자들이 지난해보다 17%나 많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재 총 2만 3천 여명의 탈북자들이 한국에 정착했고 이들 중 75%가 여성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다루스만 보고관은 탈북자들이 증가하는 것과는 달리, 탈북자들의 강제 북송은 여전히 심각한 국제사회의 우려사안이라며 북한을 둘러싼 제 3국들에 탈북자들을 지키고 보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