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서 북한인권 국제회의

0:00 / 0:00

앵커 : 한국과 도이췰란드의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북한인권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회의가 오는 17일과 18일 도이췰란드의 수도 베를린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한국의 인권단체 ‘북한인권시민연합’이 개최하는 제12차 북한인권∙난민문제 국제회의가 오는 17일과 18일 도이췰란드에서 열립니다. 이 단체의 김은영 간사는 오는 17일 동베를린 인민봉기 60주년 기념행사 등에 유럽인의 관심이 몰리는 시점에 효과적으로 북한인권을 알리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지를 베를린으로 선택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은영 간사 : 북한인권∙난민문제 국제회의 연장선상에서 요번에는 도이췰란드에서 하는데요. 올해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도 설치되고 한 시점에, 앞을 내다보는 차원에서 북한인권도 알리고 한국이 준비해야 될 통일 등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도이췰란드의 경험을 들을 예정입니다.

‘북한인권시민연합’은 1999년부터 한국, 일본, 체코, 폴란드, 노르웨이, 오스트랄리아 등 세계 각국을 돌며 북한인권∙난민문제 국제회의를 개최해 왔습니다.

이번 회의는 베를린의 독재청산재단(BundesstiftungAufarbeitung)에서 ‘북한인권시민연합’과 도이췰란드 공산학정 희생자협의회(Union der Opferverbände Kommunistischer Gewaltherrschaft-UOKG), 전 동 도이췰란드 정치범수용소(Hohenschönhausen)가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17일에는 탈북자의 애환을 담은 영화 ‘크로싱(Crossing)’이 상영되고, 18일에는 정치범수용소, 강제북송, 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접근 특히 도이췰란드의 시사점 등을 논의한다고 김 간사는 설명했습니다.

과거 나치 정권은 정치범수용소를 운영하는 등 여러가지 인권유린을 자행했지만, 통일 도이췰란드는 사회통합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며 유럽연합 27개국 중에서도 지도적인 위치에 있다고 김 간사는 말했습니다.

김은영 간사 : 통일을 앞두고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해서 앞으로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유엔 북한 인권 조사위원회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 지 논의하는 장을 만들려고 합니다. 도이췰란드는 정권이행 과정에서 과거 동 도이췰란드 인권 유린 피해자에게 어떻게 보상을 하고 처리했는지 등에 대해 듣고 준비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