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캐나다의 북한인권단체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를 외교적 기피 인물로 지정하기 위한 청원운동에 나섰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의 내달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김 제1비서의 외국방문을 차단하기 위한 청원운동이 시작됐습니다.
캐나다의 북한인권단체인 ‘북한인권협의회’는 22일 캐나다 정부를 상대로 김 제1비서를 외교적 기피 인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해 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했습니다.
통상 면책특권을 가진 외교관을 추방하기 위한 절차인 기피 인물 지정은 해당 국가에 입국이 전면 금지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날 캐나다 총리실과 외교부, 의회 주요 의원실에 제출된 청원서는 인권유린 책임자인 김 제1비서의 외국방문 차단을 위해 캐나다 정부가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 제1비서에 대한 사법적 제재인 국제형사재판소 제소가 당장 불가능한 상태에서 국제사회가 차선책으로 외교적 제재인 해외여행 금지에 나서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김 제1비서를 내달 전승절 행사에 초청한 러시아의 결정을 부끄러운 일이라며 비난했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 제소 대상인 김 제1비서를 국가수반 자격으로 초청한 건 국제사회의 뜻에 반하는 결정이라는 겁니다.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 이경복 회장은 몇몇 의회 의원들을 상대로 이번 청원의 취지를 이미 설명했으며 의회 내에서 곧 논의가 시작될 걸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경복 회장 : 조만간에 캐나다 의회 의원중에 한 분이 (의회에서) 뜻을 같이한다는 발표를 할 것이고,….
이 회장은 만약 캐나다 정부가 김 제1비서를 기피인물로 지정하고 국제사회가 이에 동참할 경우 북한 정권에 큰 압박이 될 걸로 예상했습니다.
이경복 회장 : 만약 이것이 성사된다면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지 않을까, 그래서 이런 사실이 북한 주민들에게 알려지면 우상화가 무너질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되지 않을까 그렇게 보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