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난 15일 중국 남부 국경도시 쿤밍에서 체포된 탈북자 13명이 현재 북한과 인접한 랴오닝성으로 이송돼 북송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부에선 이미 북송됐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당초 중국 쿤밍에서 동남아 국가로 이동하려던 탈북자는 15명이었습니다. 그러나 검거되는 과정에서 2명이 도망치고 13명이 붙잡혔습니다.
도주한 탈북자 2명은 이미 중국을 탈출했고, 체포된 탈북자 13명은 북송 될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탈북자 13명의 신원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탈북지원단체 한 관계자는 19일 전화통화에서 “탈북자 13명은 모두 중국 랴오닝성으로 이송됐고 랴오닝성에서 북한 당국에 이미 인도됐을 것으로 본다”며 “북송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부에선 이들이 이미 북송됐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행을 희망했던 만큼 탈북자들은 무거운 형벌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 내 탈북지원단체들은 이들의 처형을 막기 위해 유엔 등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에 선출된 중국이 전향적인 조치를 취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영자 북한인권시민연합 사무국장 : 탈북자 문제에 대해서 (중국 정부가)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하기 바랍니다. 인권이 무엇인지, 탈북자가 북송되면 왜 죽는지 다시 한 번 고심하고 그들이 원하는 나라로 보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구체적인 상황을 잘 모른다”며 이번 사건을 숨기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여전히 탈북자를 ‘불법 체류자’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지난 18일에도 ‘탈북자’라는 표현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질문 가운데 탈북자라는 표현은 맞지 않습니다. 불법 월경자가 맞습니다. 명칭을 정정하고자 합니다.
방금 들으신 대로 탈북자를 바라보는 중국 외교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결국 이번에도 중국 정부가 탈북자들의 강제 북송을 허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아직 확인 중”이라며 공식적으로 이렇다 할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