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마이클 커비 위원장이 지난 19일 밤 오스트랄리아국립대학에서 북한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을 위한 유엔 차원의 조치 등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마이클 커비 위원장은 지난 19일 오스트랄리아 시드니에 위치한 국립대학(ANU)에서 유엔 차원의 북한 인권 유린 책임자 처벌 등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권고 이행을 강조했습니다.
커비 위원장 : 북한은 독재국가일 뿐 아니라 주민의 행동과 머릿속 생각까지 통제하려 드는 전체주의 국가입니다.
커비 위원장은 북한 장성택의 처형이 불과 며칠 만에 급속하게 이뤄진 것 등을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 당국에 의한 정치범수용소, 성분차별, 식량난 등 각종 인권유린에 대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북한인권 책임자 처벌을 권고한 데 대해 수 주 후 유엔 총회에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커비 위원장은 설명했습니다. 그는 유엔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의 역할을 촉구하며 특히 러시아와 중국이 안보리 상임 이사국으로서 북한인권 유린 책임자 처벌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는 지난 봄 북한 최고 지도층의 정책과 결정에 의해 반 인도적 범죄가 자행됐다는 370여 쪽 분량의 북한인권 조사 보고서를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했습니다. 조사위원회는 한국·일본·영국· 미국 등에서 탈북자와 납북피해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공청회와 개별 면담을 거쳐 북한에서 조직적이며 심각한 인권유린이 만연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한편, 조사위원회의 임기가 지난 봄 실질적으로 만료됨에 따라 북한 인권유린에 대한 조사와 기록 등의 활동을 이어갈 현장사무소가 한국의 수도 서울에 설치될 예정입니다. 한국의 국가인권위원회와 연세대학교 휴먼리버티센터, 북한민주화위원회 등은 공동으로 오는 27일 연세대학교에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권고 이행 방안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보고서 권고에 따라 북한인권 현장사무소를 올해 하반기에 한국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