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 발의안 채택을 위해 두차례에 걸쳐 청문회를 열고 있는 캐나다의 의원들은 2일 중국정부에 탈북자들을 강제북송하지 말고 캐나다로 보낼 것을 촉구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캐나다 오타와 현지에서 홍알벗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해 10월 캐나다 하원 인권소위원회에서 북한인권관련 발의안을 발표한 신민주당의 웨인 마슨 캐나다 연방하원 의원은 중국내 탈북자들의 인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나다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000년 한국을 방문해 판문점을 찾았던 마슨 의원은 이후 여러차례 탈북자들의 증언을 접하고 북한인권문제의 해결점을 찾기 위해 고민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마슨의원은 무엇보다 1일과 3일 이틀간 마련된 캐나다 하원 인권소위원회 청문회가 여야 의원 모두에게 북한인권문제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갖도록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웨인 마슨 의원:
중국에 있는 탈북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캐나다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려는 게 이번 청문회의 목적입니다.
이보다 앞선 2009년 캐나다 의회에서 처음으로 북한인권관련 발의안을 발표했던 보수당의 배리 데볼린 캐나다 연방하원의원은, 당시 발의안을 통해 중국내 탈북자들이 강제북송돼 고문을 당하고 처형당하는 것에 대해 캐나다 정부가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널리 알릴 것을 촉구했었습니다.
또한 오는 4월 상정될 이번 발의안에 캐나다 내 모든 의원들이 정당을 초월해 마음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배리 데볼린의원:
모든 정당의 의원들이 동의해야 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치와 정당의 문제가 아니라 인권문제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도와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데볼린의원은 이제는 말이 아닌 행동을 보여줘야 할 때가 됐다며 탈북자들을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배리 데볼린의원:
이제는 탈북자와 인권문제를 이렇게 해야 한다 저렇게 해야 한다 하고 말로만 떠들것이 아니라, 중국 정부한테 탈북자들을 북한으로 강제송환하느니 차라리 캐나다로 보내 달라고 해야 한다는 것이죠.
웨인마슨 의원도 북한인권문제 해결을 위해선 세계 각국이 적극 나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웨인 마슨 의원:
우리는 인권의 가치에 대해 서양은 물론 그 밖의 많은 나라들과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합니다.
한편 캐나다 하원 인권소위원회는 3일 북한인권협의회의 이경복 회장과 독일인 의사 노르베르트 폴러첸 씨의 증언을 들을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