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탈북자 가족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를 벌이면서 탈북자 가족들이 생계에 위협을 받고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법당국의 지나친 소환조사에 일부 탈북자 가족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5일 “최근 국경연선의 보안서들에서 탈북자 가족에 대한 일제 조사에 착수했다”면서 “주민등록상에 남아있지만 행적이 묘연해진 식구들을 찾아내라고 다그치는 바람에 일부 가족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무산군 보안서가 8월부터 가족 중에 행불자가 있는 주민 수십 명을 모두 소환해 조사를 시작했다”면서 “불법 손전화를 회수하거나 불법전화 연결로 체포된 사람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탈북자 가족명단을 확보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최근 보안당국이 국경연선에서 불법 국제전화 연결 브로커들에 대한 강력한 조사와 처벌을 예고했다”면서 “불법전화 브로커들이 자수하거나 불법통화 이용자 명단을 넘기면 처벌을 면해준다는 조건을 내걸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요즘 전화브로커들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으로 인해 국경연선의 분위기가 완전히 얼어붙었다”면서 “전화 브로커들은 대부분 전화를 이용한 탈북자 가족의 인적자료를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서에서 전화 브로커들을 조사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4일 “일부 탈북자 가족들은 거의 매일같이 보안서에 불려 다닌다”면서 “이들은 대개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의 가족들로 경제적 도움을 받기 위해 한국의 가족과 불법 전화로 연계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현재 불법통화자로 조사를 받는 주민들은 대개 수년간에 걸쳐 불법통화한 이력을 갖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들은 비록 탈북자 가족이지만 그동안 한국의 가족이 보내준 돈으로 편히 살아온 사람들이라 자신들이 탈북할 마음은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돈만 주면 언제든지 탈출할 수 있는 조건에서도 탈북자 가족들은 그대로 조선에 남아있었다”면서 “만약 그들이 탈북을 원했다면 돈을 써서라도 벌써 탈북하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최근 혜산시 체신소(우체국)에 다니는 박모씨도 행방불명 된 어머니 문제로 계속 보안서에 불려다녔다”면서 “당국의 강압적인 조사를 참다못한 그가 ‘나도 어머니의 행방을 전혀 모르는데 꼭 찾아내라면 직장을 걷어치우고 어머니를 찾아 떠날 수밖에 없다’고 항변하자 보안원이 오히려 그를 달래며 소환조사를 멈췄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들은 탈북자를 원천차단하라는 중앙의 지시에 따라 탈북자 가족에 대한 일제 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지나친 조사가 오히려 가족들을 자극해 탈북을 조장할 수도 있어 조사에 임하는 보안원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앞서 지난달 말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민 박 모씨는 자유아시아방송에 “며칠 전 북한의 가족들이 도 보위부에 불려가 조사를 받고 있다는 소식을 중국을 통해 들었다”면서 가족들의 안위를 우려했습니다. 또 탈북 여성 김 모씨도 최근 언니가 보위부에 불려가 조사받을 사실을 알리면서 “일체 연락을 끊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