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첫 탈북자 단체 내년 초 창립”

0:00 / 0:00

앵커 :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탈북자를 중심으로 북한인권 단체 결성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프랑스에서 난민 지위를 신청한 탈북자 윤민호(가명) 씨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 중 하나인 프랑스에서는 처음으로 내년 1월 말을 목표로 탈북자 단체 출범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윤민호 씨 : 저희가 이번에 프랑스에서 협회를 창립하려고 하는 이유는 프랑스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한반도 문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주목하고 있구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인권유린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 등에 회부하도록 권고하는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이 지난달 유엔총회 제3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프랑스의 역할에 기대를 걸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윤 씨는 프랑스에 정착한 탈북자 수가 어린이까지 포함해 10여 명에 불과하지만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 중 서방국가에 탈북자 단체가 없는 나라는 프랑스 밖에 없다며 단체 수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가칭 ‘재불조선난민회’라는 프랑스 최초의 탈북자 단체는 프랑스 정부가 북한인권문제에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프랑스에 정착한 탈북 난민들의 사회 적응을 도울 예정입니다.

윤 씨 : 북한에 대해 '바로 알리기', 그러니까 북한의 실상을 보태지도 않고 덜지도 않고 프랑스 사회와 국민과 정부에 알리려고 단체를 만들려 하고 있구요.

윤 씨는 난민 신청 기간에도 숙식을 지원 받을 수 있는 독일, 벨기에 즉 벨지끄, 네덜란드 즉 화란 등과는 달리 프랑스에서는 난민 자격을 받을 때까지 스스로 숙식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또한 난민수용소의 수용 가능 인원에 비해 난민의 수가 매우 많아 노인, 어린이, 여성 등 노약자 등이 우선권이 주어지고 남성은 더 오래 기다려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이 단체는 유럽 내 탈북자들의 연합체인 ‘재 유럽 조선인 총연합회’ 즉 ‘유럽총연’과 긴밀하게 협력해 활동할 계획입니다. 현재 유럽에는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등에 탈북자 단체가 활동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