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영국 의원들이 장애인 차별과 당과 군에 만연한 성 폭력 등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보고서가 제기한 북한의 인권 유린 개선을 위한 영국 정부의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영국 외무부의 휴고 스와이어 부장관은 최근 영국 정부는 북한의 당∙정∙군에 만연한 성 폭력 문제 등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지적한 인권 유린에 대해 평양 주재 영국대사관이나 영국 런던의 북한대사관 등을 통해 개선을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스와이어 부장관은 북한 여성에 대한 성 폭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영국 정부의 조치를 묻는 영국 의회 내 초당적 모임인 ‘북한에 관한 상하원 공동위원회’ 제프리 클리프턴-브라운 부위원장의 서면 질의에 대해 이 같이 답했습니다.
스와이어 부장관은 그러면서 북한은 아직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세부 내용에 대해 영국 정부와 논의하려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영국 국제개발부의 데스몬드 스웨인 부장관은 그러나 중국 내 탈북 여성의 인신매매와 인권 유린 개선을 위한 비 유엔기구에 대한 지원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스와이어 부장관은 또 북한의 장애인 차별 정책에 대한 영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피오나 브루스 하원의원의 질문에 대해 북한 당국이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증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북한에 관한 상하원 공동위원회’ 사무국의 제임스 버트 씨는 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위원회 차원에서 북한의 장애인 문제 등을 계속해서 제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버트 씨 : 저희 위원회가 지난해 12월 장애인 탈북자 지성호 나우 대표 등을 초청해 북한 장애인 실태에 관한 행사를 했습니다. 북한 언론이 저희 행사에 대해 비난했는데요. 그 만큼 북한의 장애인 실태를 정확히 알렸다는 방증이겠죠. 저희 단체는 영국 정부에 계속해서 북한 장애인 문제를 개선하도록 촉구할 것입니다.
한편, 데이빗 앨튼 상원의원은 영국 정부에 대한 서면 질의서에서 영국에 난민 지위를 신청한 탈북자에 대해 난민 심사에서 북한에 두고 온 가족의 안전을 고려하는 지 질문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정부는 한국은 탈북자가 정착하는 데 안전한 곳으로 간주하고 있다며 영국 정부가 난민 심사에서 탈북자의 북한 내 가족의 안전 문제까지 고려하지는 않고 있다고 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