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이산가족 전수조사 착수

0:00 / 0:00

MC:

한국의 통일부가 이산가족의 실태를 전수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의 이산가족 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사람은 8만 2천500여명입니다. 통일부가 이들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산가족들의 가족관계와 이산 시기, 그리고 사유 같은 기본적인 신상 정보와 북한에 있는 가족과의 교류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게 됩니다. 통일부 이종주 부대변인입니다.


이종주:

정부는 이번 실태 조사를 통해서 이산가족 정보통합시스템이 실효적으로 현행화되고, 이산가족들의 신상 정보뿐 아니라 이산 세대 간에 정체성 변화, 애로사항, 현재와 미래의 정책 수요까지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현재 이산가족 중 약 80%가 70대 이상의 고령인데다 매년 3-4천 명씩 사망하고 있다”면서 “향후 대규모 남북교류에 대비해 이산가족정보시스템을 정비하고 기초 자료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2009년 9월에 제정된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은 통일부 장관이 5년마다 이산가족의 현황 등에 관한 실태 조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법 제정 이후에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실태 조사이고, 이산가족 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첫 번째 전수 조사이기도 합니다.

통일부는 조사를 실시할 기관을 3월 중 최종 선정할 예정이고, 4월부터 6월까지 전화 조사를 한 다음 8월까지 방문 조사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말에는 이산가족교류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통일부는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