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이 북한에 있는 가족과 상봉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국무부의 우선 정책 과제로 삼으라고 미국 연방 상원의원이 촉구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마크 커크 (공화, 일리노이) 상원의원은 30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국무부가 미국에 사는 한인들과 북한의 가족 간 상봉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커크 상원의원은 미국 의회조사국(CRS) 자료를 인용해 한국전쟁 때 북한에 남겨진 가족과 헤어진 채 미국에서 살고 있는 한인 이산가족이 10만 명에 이르지만 여지껏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미북 양자 간 또는 다자 간 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서한에서 미국 의회가 2007년 미국내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돕기위한 최초의 미국 정부내 공식 기구인 ‘한인 이산가족위원회’를 출범시킨 데 이어, 2010년에는 법률로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우선 과제로 삼고 필요하다면 국무부 내에 이산가족 상봉 조정관을 둘 것을 명시했지만 아직 임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커크 상원의원은 북한 측의 협조가 없는 상태에서 이 문제를 풀기가 쉽지 않겠지만, 한국 정부는 물론, 미국 의회도 미국 내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국무부와 긴밀히 협조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중요한 인권 문제’라면서 국무부에 이를 해결할 방안을 찾을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커크 상원의원은 이어 클린턴 장관에게 미국 국무부가 미국 내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자세히 설명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국무부가 독자적으로든, 한국 정부와 공동으로든 또는 국제적십자사와 같은 국제기구를 통해서든 한국전 이후 60여 년만에 첫 미국내 한인들의 이산가족의 상봉을 주선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커크 상원의원은 지난달 10일 한국 정부에 서한을 보내 남북한 간 이산가족 상봉 때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는 당시 한국의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 장관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미국내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미국과 한국 양국 정부 간 협력과 정보 교류를 제안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