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오는 23일 판문점 남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열 것을 북한에 공식 제안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산가족 상봉이 남북관계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추석을 전후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고 제안했기 때문입니다.
통일부는 16일 오전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지문을 북측에 보냈습니다.
남측이 희망한 실무접촉 날짜와 장소는 오는 23일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입니다.
통일부는 이산가족들이 고령인 만큼 최대한 많이 상봉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 이산가족들이 고령이십니다. 그래서 이분들은 한시가 바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 최대한 신속하게 한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실무접촉 통지문은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 이름으로 강수린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 앞으로 전달됐습니다.
아직 북한에서 이렇다할 답변을 내놓고 있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최근 남북관계의 흐름을 봤을 때 성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한적십자사 한 관계자는 상봉자를 선정하고 명단을 교환한 뒤 생사 확인까지 거치려면 최소한 한 달 정도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될 경우 상봉 장소로는 금강산 면회소가 유력합니다.
이를 계기로 북한이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를 꺼낼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 이산가족 면회소가 그동안 가동되다 중단됐으니까 장소를 이용한다는 핑계로 금강산관광 재개도 협의하자고 나올 것입니다.
북한에 있는 가족을 만나겠다며 남한 정부에 신청한 이산가족은 모두 7만 여명. 이 중 약 80%가 70세 이상 고령자입니다.
상봉 행사 때 이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길어야 2박 3일입니다. 2박 3일은 60년 동안 헤어졌다 만난 이산가족들의 아픔과 맺힌 한을 다 풀기에는 너무나도 짧은 시간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남한 정부는 오래전부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요구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