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는 남측의 제안에 북측이 묵묵부답 상태로 하루를 보냈습니다. 그런데 행사를 개최하기로 합의한다고 하더라도 풀어야 할 숙제는 많이 남아 있습니다. 특히 상봉 장소가 문제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통일부는 7일 판문점 남북 연락관 업무 마감통화에서도 남측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과 관련해 북측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하루 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고 북측에 제안했고, 이어서 한국 정부는 오는 10일 적십자 실무접촉을 판문점에서 갖자는 전통문을 북측에 보낸 바 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판문점 연락관 통화에서 실무접촉 관련 언급은 없었다”며 “북한이 오늘내일 중에는 회답을 해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북측이 상봉 행사에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풀어야 할 숙제는 많습니다. 특히 상봉 장소를 어디로 할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북측은 시종일관 금강산을 고집하지만, 남측은 서울이나 평양, 또는 제3의 장소를 고려한 바 있기 때문입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지금 현재로서는 장소 문제나 이런 것에 대해서는 설명드리기가 조심스러운 점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고, 이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는 지렛대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 같다는 게 한국 정부 당국자들의 설명입니다.
실제로 북측은 지난해 8월 남측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제안하자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에 동의하는 한편,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동시에 개최하자고 역제안한 바 있습니다.
당시 남북은 추석 직후인 9월 25일부터 30일까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했고, 이와 별도로 11월 추가 상봉 행사와 10월 화상 상봉도 계획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 나흘 전 갑자기 ‘무기한 연기’ 방침을 밝히면서 행사를 무산시켰습니다.
북측이 제시한 명분은 남측이 ‘대결 소동’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을 분리하려는 남측의 입장에 불만을 품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번에도 한국 정부의 입장은 일관됩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금강산 관광 문제는 기본적으로 별개의 사안이기 때문에 정부로서는 별개의 사항으로 대처해서 추진할 계획입니다.
남측이 두 사안의 연계 불가 방침을 공개적으로 재확인하는 터여서, 북측은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강산 관광 사업은 2008년 7월 남측 관광객이 피격 사망하면서 중단된 바 있습니다.
한편, 통일부는 지난해 9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개최 직전까지 진행됐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1-2주 안에 실무 준비가 끝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985년 처음 성사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2010년 10월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