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국무부가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를 통해 미국에 사는 한인의 북한 내 가족의 생사 확인과 상봉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정부가 유엔의 북한 대표부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직접 협의하고 있다고 미국 적십자사를 방문한 이산가족 대표가 전했습니다.
미주한인시민연맹(LOCA)의 정찬수 사무총장은 지난 9일 이산가족 상봉위원회 관계자 6명이 미국 적십자 본부를 방문했으며 이산가족상봉과 관련한 협의를 했다고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정 사무총장은 미국 적십자사가 조선 적십자사를 통해 한인 이산가족의 서한을 전달하며 생사 확인을 시도한 것과 별도로, 미국 정부도 직접 북한과 접촉해 가족 상봉을 추진 중이라는 설명을 이 자리에서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정찬수
: “미국 적십자사가 지난해 7건의 이산가족 서류를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에 전달했고, 킹 특사는 뉴욕의 유엔 북한대표부를 통해 접수된 한인의 가족이 북한에 살고 있는지 확인해 주기를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정 사무총장은 미국 국무부의 북한인권특사가 뉴욕 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했지만, 가족 생사와 관련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는 적십자사의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날 한인 이산가족 대표들이 만난 미국 적십자사 관계자는 캐리 산토스 국제 정책과 대외 업무 상임 이사, 카테린 사라니크 가족 연결사업 책임자, 리사 갈리 국제 업무 담당자 등 3명이었습니다.
산토스 상임 이사는 북한의 가족을 찾으려는 한인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하면서 미국 전역의 적십자사 지부 500여 곳에서 가족 상봉을 위한 신청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조선 적십자사와 연락조차 쉽지 않는 등 여러 가지 현실적인 어려움도 토로했다고 정 사무총장은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인 이산가족 대표들은 북한의 가족 생사를 확인한 한인이 적십자사를 통해 북한을 방문하거나 제3국에서 가족을 만나도록 적십자사가 주선해 주기를 요청하고 시민연맹에서 작성한 이산가족 상봉 신청서를 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