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의회 하원이 한인이산가족상봉촉구결의안(H.CON.RES.40)을 채택할 전망이 커지는 가운데, 상원에서는 결의안보다 더 강력한 법안 제출이 진행되고 있다고 재미이산가족단체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에 사는 한인이산가족들의 단체인 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 이차희 사무총장은 마크 커크 의원이 올해 안에 이산가족상봉법안을 상원에 제출할 가능성이 크다고 4일 전망했습니다.
이 사무총장은 미국 국무부가 이산가족상봉 문제를 대북정책에 얼마나 반영할지에 따라 커크 의원의 법안 상정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이차희 아산가족위원회 사무총장 : 커크 의원이 지난 3월에 찰스 랭글 하원의원과 함께 국무부의 존 케리 장관 앞으로 편지를 보내서 한인이산가족들과 북한의 가족 간 상봉을 우선으로 추진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가족상봉을 위한 국무부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커크 의원이 이산가족상봉법을 상원에 제출하겠다는 뜻을 이산가족대표들에게 밝혔습니다.
이 사무총장은 법안의 주요 내용 중에 한국에서 열리는 남북이산가족상봉 행사에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이 참여할 길을 열도록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 요청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습니다.
커크 의원은 2011년 한국의 외교부와 통일부에 편지를 보내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미국과 한국의 정부간 협력과 정보 공유를 제안한 바 있습니다.
미국의 대북구호 민간단체인 유진벨 재단과 한인 이산가족단체가 파악하는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의 수는 약 10만 명이며 이산가족위원회가 수집한 미국의 이산가족과 관련한 정보를 한국 정부와 공유해 이들이 하루빨리 북한에 있는 가족을 찾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입니다.
이와 함께 이산가족상봉 대상자를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으로 제한하고 있는 한국의 이산가족상봉법과 절차를 개정해 외국에 사는 이산가족도 상봉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고려해 주기를 요청했습니다.
미국 공화당의 커크 의원은 하원 의원 시절인 2007년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이 북한의 가족을 다시 만나도록 지원하기 위해 의회에 ‘한인이산가족위원회’를 출범시킨 주역으로 이후 의회 내 이산가족문제 논의를 주도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