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국경지역서 탈북자 가족 사살”

0:00 / 0:00

앵커 : 최근 일가족 네 명이 중국과의 국경 지역에서 사살되는 등 북한과 중국의 삼엄한 탈북자 단속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집권 후 수 년간 탈북자 단속이 점차 강화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린성 허룽시 등 북한과 접한 중국 마을에서도 검문이 강화되는 등 북한 주민들의 탈출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탈북하던 일가족 네 명이 사살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탈북 경로가 차단될 위기에 처했다고 회령 출신 탈북자 배 모씨가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탈북자 배 씨 : 북한도 며칠 전에는 가족이 네 명인가 넘어오다가, 총으로 사살됐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래서 위험하다고, 함부로 탈북하기 힘들다…김정은이가 하고 나서부터 솔직히 말해서 두만강을 넘는 것이 그게 뭐 죄입니까? 거기다 대고 총까지 쏴 버리고….

한 부부와 초등학교 2~3학년으로 보이는 아이 등 일가족 네 명이 탈북하다 사살됐다는 걸 두만강 연선 잠복초소에서 근무하던 국경수비대원으로부터 자신의 지인이 직접 들었다고 배 씨는 말했습니다.

2013년 3월 유럽의 덴마크에서 난민지위를 신청하고 대기 중인 배 씨는 북한으로부터 살해 위협을 받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국경수비대, 보위부, 보안서, 노동적위대까지 동원돼 국경 경비가 삼엄한데다 중국은 강제북송의 대가로 북한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탈북자 배씨 : 중국에서 북한 사람들 북송하지 않습니까? 그건 중국에서 그만한 대가를 받고 보내는 겁니다, 그게.

배 씨는 회령시 보위부에서 강제북송된 탈북자 한 명 당 엄청난 양의 낙지를 중국 변방부대에 보내기로 약정한 서류를 직접 본 기억도 있다며 이 같이 강조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단지 ‘경제적 불법월경자’이기 때문에 정책에 따라 탈북자를 북한으로 송환하는 것이 아니라 대가를 톡톡히 챙기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배 씨는 생활고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들이 장마당 활동 등을 통해 생계를 이어가도록 체제가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국가가 나서 중국과의 무역을 독점하려고 하지만 주민들은 국가가 금지하는 것을 기를 쓰고 해야 먹고 살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한편,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지난달 발표한 ‘세계인권보고서’(Wolrd Report 2015)에서 북한 당국에 의한 국경감시 강화로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 등 탈북자 수가 감소했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