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안 사실상 거절”

7일 평양에서 AFP통신과 만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소속 김용철.
7일 평양에서 AFP통신과 만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소속 김용철. (AFP PHOTO)

0:00 / 0:00

앵커: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고위 관리가 한국의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문재인 한국 정부의 이른바 대북 '햇볕정책' 추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7일 평양에서 AFP통신과 만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소속 김용철(Kim Yong-Chol)은 한국 측 이산가족 상봉행사 제안 움직임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그는 지난해 4월 한국으로 간 중국 내 북한 식당 여종업원 12명을 한국 측이 강제로 억류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물론, 북한으로 돌아오고 싶어하는 김련희(Kim Ryon-Hui)란 또 한명의 남한 내 북한 여성 등 13명을 모두 북송하지 않을 경우 이산가족상봉 행사를 비롯한 어떠한 인도적 남북 간 협력 사업도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Unless Kim Ryon-Hui and 12 other women workers are returned immediately there can never be any kind of humanitarian cooperation. And this is our principled stand.)

그는 한국 정부가 이들을 즉각 북한에 돌려보내야 한다면서 이러한 북한 측의 원칙적 입장은 확고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북한 측 발언에 대해 ‘감춰진 (북한) 강제노동수용소’의 저자인 미국의 데이비드 호크 씨는 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매우 슬픈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데이비드 호크 : 매우 슬픈 일입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인도적 사안의 중요성'이란 측면에서 핵과 미사일 위기 등 어떤 다른 사안과도 연계돼선 안됩니다. 북한 측 입장이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 캄보디아, 즉 캄보쟈 사무소장을 역임한 학살조사 전문가인 호크 씨는 한국의 문재인 정부가 북한 식당 여종업원과 관련된 북한 측 요구를 수용하긴 어려울 것이라면서 이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려는 대북 인도적 사업 진행에 큰 어려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미국의 민간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가 중국 내 북한 여종업원을 강제로 납치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레그 스칼라튜 : 대한민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이 3만여 명이나 됩니다. 대한민국 정부 기관이 이북 사람을 납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북한의 주장은 너무나 비합리적인 주장입니다. (12명) 여성들도 분명히 제가 알기론 지금 한국 대학교에 다니고 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북한의 입장으로 미뤄볼 때 남북 이산가족상봉 행사 개최는 어려울 것 같다면서 한국 문재인 정부의 이른바 ‘제2의 햇볕정책’도 추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7일 한국 국회에서 열린 인사 청문회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남북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해 이는 “인도적 차원의 문제”라면서 “적극 추진해보도록 관계 부처와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앞서 지난 5일 한국의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당, 야당 원내대표들은 북한에 8월15일 광복절날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허락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으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