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북한자유주간 행사가 열리는 동안 워싱턴에서도 북한인권에 관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참석자들은 식량지원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잡니다.
미국 워싱턴에 북한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책연구기관인 미국 기업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는 27일 '배고픈 인권(Hungering for Human Rights)'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식량문제를 비롯한 각종 인권문제에 대해 대화를 나눴습니다.
가장 큰 관심사는 대북식량지원문제였습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미국 정부는 정치적인 접근이 아닌 인도주의적 입장에서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원칙을 재확인시켰습니다.
킹 특사는 또 한국정부와 접근방법이 다를 수는 있겠지만 지속적인 한미공조관계의 토대 위에서 대북 식량지원문제를 풀어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미국 국무부
] “미국은 북한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 있어 한국측과 굉장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북한에 식량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는 사마리탄 퍼스(Samaritan’s Purse)의 켄 아이작 부대표는 북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식량배급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하지만 현실적으로 인력문제 때문에 분배감시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켄 아이작/사마리안 재단
] “우리 단체는 올해도 북한 곳곳에서 많은 이들이 굶주림에 고통받고 죽는다는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식량분배를 감시하는 것은 힘이 듭니다.”
미국 북한인권위원회(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의 척 다운스 국장은 이번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매우 시의 적절했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외부정보가 북한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
척 다운스/미국 북한인권위원회
] “미국의 북한에 대한 제개로 인해 북한주민들이 국제시장에 대한 접근과 자본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습니다.”
미국 기업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주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선 북한의 식량 문제 외에도 일본 납북자 문제가 거론돼 일본 언론의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