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인권유린 사망자 매장지 47곳 파악”

0:00 / 0:00

앵커 : 북한 당국의 반인도 범죄로 세상을 떠난 이들의 매장지를 찾고 있는 남측 북한 인권단체가 이와 관련한 첫 보고서를 19일 내놨습니다. 375명의 탈북자를 심층 조사해 내놓은 결과입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 집단 매장지와 시체 소각장 등 시신 처리 장소 47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북한 인권 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이 19일 관련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단체 측은 “김정은 위원장 등 북한 지도층에 인권 유린을 중단하라고 경고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권유린을 자행하는 북한 지도층을 법적으로 처벌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북한 집권자들을 법의 심판대에 올려놔야 한다고 하는데 아직 그게 안 되고 있습니다. 땅 밑에 묻혀 있는 사람들은 법의 심판을 내릴 때 중요한 증거가 되는데 이런 증거들이 어디에 있는지 미리 찾아둬야 북한 권력자들에 대한 법적 절차가 원활하게 이뤄질 것입니다.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지난 2015년 9월부터 탈북자 375명을 심층 조사해 290곳의 집단 매장지와 시체 소각장 등 시신 처리 장소 추정지를 파악했습니다. 단체는 이를 면밀히 분석해 시신 처리 장소 추정지를 47곳으로 추렸지만 아직 조사가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추정지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 장소들은 대개 주거지역과 멀리 떨어진 산악지대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영환 대표는 “현재 조사 초기 단계지만 집단 매장지와 관련한 몇 가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매장지는 산악지역에 분포하지만 감옥이나 일반묘지, 관리소와 교화소 같은 수감시설 인근에도 위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14년 설립된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5개국 출신의 인권운동가와 연구자들이 모여 북한 인권 침해 사례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시민 단체입니다. 현재 이 단체는 집단 매장지와 시체 소각장 등을 표시한 ‘북한 인권범죄 지도’ 작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