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에 입국하는 탈북 난민들을 지원하는 정착 제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대한 조사 작업이 필요하다고 미국의 한 북한인권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그레그 스칼라티우 사무총장은 미국에 정착한 탈북 난민들에 대한 조사 작업이 필요하다고 1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그레그
: 미국 생활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운전면허증 따는 것부터 시작해서, 신용관리를 하는데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2004년 미국에서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이후 지난해 말까지 입국한 탈북 난민은 모두 12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현재 미국 전역에 분포되어 살고 있으며, 주로 한인 사회를 중심으로 슈퍼마켓과 식당, 서비스 업종, 세탁소 등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미국에 정착한 탈북 난민에 대한 초보적인 생활 실태를 참고할 만한 어떤 자료도 파악하기 어렵다고 그레그 사무총장은 말했습니다.
더욱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북한의 3대 권력세습이 불안정 요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탈북 난민 문제는 시급한 사안으로 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레그 총장은 한반도 급변사태에 따른 여러 가지 변수 가운데, 대량 난민 발생 가능성은 언제나 깊은 우려의 대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레그
: 김정은 정권이 몇 십 년 동안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만, 김씨 일가의 정권이 하루 밤에 무너질 수 도 있다는 가능성도 고려해야 되거든요. 그러면 난민수가 엄청나게 될 텐데요. 미국이 북한 난민들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미국 동부에 정착한 한 탈북 여성은 “탈북자들은 언어 장벽으로 인해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난민 지원 정보도 제대로 얻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탈북 여성
: 미국에 처음 오면 소셜 시큐리티 넘버(social security number. 주민등록번호) 같은 것도 필요한지 안 한지, 그런 게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지 않나요? 그걸 미리 알려줄 사람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탈북 여성은 “처음에 영어를 잘 몰라 당황해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면서 “8개월 동안 주어진 미국 정부의 난민지원 프로그램도 충분히 이용할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또 탈북자들이 탈북 과정에서, 그리고 제3국에 체류하는 동안 받은 여러 가지 정신적인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상담과 의료보호 혜택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이 여성은 말했습니다.
또 다른 미국 북한인권단체 관계자는 “미국은 원래 이민자의 국가이기 때문에 탈북 난민이라고 해서 따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기 어렵다”면서 “교회나 민간단체 등 지역사회에서 탈북자들을 따뜻하게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