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7일 북한에서 3대째 자행되는 반 인도적 범죄의 유산을 종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휴먼라이츠워치의 필 로버트슨(Phil Robertson) 아시아담당 부국장은 북한 김일성 주석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했던 공포정치와 인권 탄압이라는 유산을 그대로 물려 받은 손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를 국제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 북한에서 체계적이고 광범위하며 극단적인 인권유린이 자행되고 있다는 유엔의 강력한 비난을 북한 정권도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현실에 직면했습니다. 유엔은 계속해서 책임추궁을 실현해야 합니다.
국제사회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UN COI) 보고서가 북한 인권 유린의 속성을 밝혀낸 이후 북한의 인권 상황을 그 어느 때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다고 로버트슨 부국장은 말했습니다.
미국 뉴욕의 휴먼라이츠워치는 김 주석 사망 21주기를 하루 앞둔 7일 성명을 통해 비밀 경찰, 수용소, 다른 의견을 수용하지 않는 지도자 숭배, 공포심을 자아내기 위한 공개 처형 등이 김 제1비서 통치하에서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제1비서도 주민에 대한 임의적 구금, 고문, 숙청, 박해, 강제노역은 물론 이동이나 국외 여행의 자유 박탈 등 김 주석과 같은 수법으로 독재 통치를 강화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성명은 또 김 주석은 죄 값을 치르지 않고 사망했지만, 그와 마찬가지 반 인도적 범죄를 자행하고 있는 김 제1비서를 국제 법정에 세워 김 씨 일가의 반 인도적 범죄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죄를 저지른 사람이 면죄부를 받지 않고 응당한 벌을 받도록 하는 것이야 말로 김 주석 사망 기념일을 맞아 국제사회가 기억해야 할 유산이라는 것입니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북한 당국이 주민의 언론과 사상을 통제하려 하지만 주민들의 의식 변화를 막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 최근 북한 중간급, 고위급 간부의 탈북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가혹한 숙청과 수용소 수감 등 김정은 정권의 공포정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그러면서 김 주석이 사망한 지 21년이 지나는 동안 북한 주민들은 외부세계의 동영상 등을 통해 당국의 선전선동을 더 이상 믿지 않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