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회, 강제노역 등 북 인권 청문회

0:00 / 0:00
러시아 시베리아 벌목장 출신 북한 노동자 박 모씨의 상처난 손.
러시아 시베리아 벌목장 출신 북한 노동자 박 모씨의 상처난 손. (RFA PHOTO/ 양성원)

앵커 : 독일 연방의회에서 23일 북한 정치범수용소 간수 출신 탈북자 안명철 씨 등이 증언하는 북한인권 행사가 개최됩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독일의 기독민주당과 기독사회당 (CDU/CSU) 연합의 슈테판 헤크(Stefan Heck) 의원을 중심으로 하는 ‘북한인권위원회’가 23일 독일 의회에서 공식 발족행사를 개최합니다.

노예와 같은 해외 파견 북한 근로자 문제, 북한 수용소 내 강제 노역, 북한의 핵 위협(North Korea 2015: slave laborers abroad, forced labor camps in Germany and nuclear threat to South-East Asia)을 주제로 한 행사입니다.

이 당의 아놀드 파츠(Arnold Vaatz) 인권 및 인도주의 지원 담당 원내 부대표가 초대돼 개막인사를 하고, 이어 쿠웨이트 건설 노동자 출신 탈북자 림일 씨와 북한정치범수용소 간수 출신 탈북자 안명철 NK워치 대표 등이 북한 인권 실태에 관해 증언할 예정입니다.

행사를 공동주최하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인권단체 ‘국제인권사회(IGFM: Inter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의 마틴 레센틴(Martin Lessenthin) 이사장도 북한의 인권 실태에 관해 발표합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독일의 한 인권단체 관계자는 집권 여당의 의원이 참여한 ‘북한인권위원회’의 설립을 계기로 독일 정부가 북한의 인권 개선에 촉매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앞서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가 21일 개최한 북한인권 전문가 토론회에서 독일 대표는 매우 강력하게 북한의 인권 실태를 비난했습니다.

독일 대표 : 북한이 정권유지를 위해 주민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마저도 언제든지 유린하고 있다는 데 경악을 금치 못합니다.

북한의 강제실종과 납치 문제 등을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독일 대표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지적한 북한의 심각하고, 조직적이며 광범위한 인권 침해에 대해 독일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북한은 한 사람의 지도자의 의지에 따라 가족을 집단으로 처벌하는 ‘연좌제’와 정치범수용소 철폐를 비롯해 고문과 처형 그리고 강제노역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