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서방 인권 공세에 적극 대응

0:00 / 0:00

앵커: 북한이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의 인권 문제 제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자칫 인권 문제가 체제 전복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이 최근 북한의 강제노동수용소 폐쇄를 촉구한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에 대한 인신공격에 나섰습니다.

주걱턱과 움푹 꺼진 눈언저리, 그리고 잿빛 머리카락이 굶주린 승냥이를 닮았다는 것입니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20일 정책국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이 같이 케리 장관을 거칠게 비난하면서 북한의 핵 포기를 전제로 대북관계 개선이 가능하다는 미국 측 입장은 ‘가면극’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18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도 최근 케리 장관의 발언에 대해 북한에 대한 ‘병적인 거부감, 체질적인 적대시 정책’의 표현이라며 맹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북한 인권문제 제기는 북한 체제가 “군사적으로 제거해야 할 대상이라는 국제적 인식을 축적”하고 대북 “군사적 위협을 합리화”하기 위한 시도라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케리 장관은 지난 13일 하와이에서 한 연설에서 북한 당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강제노동수용소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이례적으로 강도 높게 북한 인권 실태를 비난했습니다.

케리 장관: 북한의 강제노동수용소는 내일도 아니고, 다음 주도 아니고 지금 폐쇄돼야 합니다... 인간의 존엄성을 박탈하는 북한의 인권 유린은 21세기에는 더 이상 설 곳이 없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는 인권 유린을 일삼는 현 북한 체제가 21세기에 더 이상 존재해선 안 된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당시 케리 장관의 발언에 대해 국무부 측도 북한의 변화를 압박하기 위한 미국 정부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 인권을 고리로 새로운 대북 압박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미국의 수미 테리 전 백악관 안보회의 선임국장은 최근 북한 문제를 ‘인권’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습니다.

테리 전 선임국장: 북한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인권'을 통한 접근입니다. 과거 12년 북한을 연구한 사람으로서 북한 지도자 김정은은 핵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이러한 움직임에 맞서 북한 당국은 미국 등 서방세계의 인권 공세를 정면 돌파하겠단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 핵문제가 좀처럼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초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보고서 발표 후 유엔 등 다자 국제무대와 미국 의회까지 북한 인권 문제를 거듭 거론하고 나서자 북한 입장에선 이를 그대로 보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것입니다.

지난주 북한 당국은 오는 27일 ‘조선인권연구협회’ 창립 22주년을 앞두고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외부의 ‘편견’을 바로잡기 위한 자체 인권보고서를 준비 중이라면서 조만간 이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